AI 시대, 지방대학의 생존전략은?
카테고리
기획
서브카테고리
AI 전략
대상자
지방대학 총장, 교육정책 담당자, 지역 산업계 관계자 / 중간~고급 수준
핵심 요약
- 지방대학은 AI 융합 교육 및 산학협력 강화를 통해 지역 혁신 플랫폼으로 재정립해야 한다
- AI 전문 인력 양성과 지역 기반 데이터 분석 역량 강화가 생존의 핵심
- 정부의 전략적 예산 및 정책 지원이 지방대학 AI 생태계 구축의 필수 조건
섹션별 세부 요약
1. 간담회 개요 및 논의 주제
- 광주전남 11개 대학 총장과 민주당 인사가 '지역균형발전과 AI 중심 대학혁신' 논의
- AI 시대에 지방대학의 역할 재정립, 정부 지원 필요성 강조
- 산업계와의 협력, 지역 문제 해결형 교육과정 개발 제안
2. AI 중심 대학혁신의 필수 조건
- AI 융합 교육, 연구 인프라 투자, 스타트업 육성 기능 강화
- 에너지와 AI 기술 융합의 중요성 강조 (예: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총장 의견)
- 지역 총장들 제안: 실증 연구 지원, AI 기반 교육과정 개발
3. 민주당의 AI 전략 추진 의지
- 국립대·사립대의 특성화된 '선택과 집중' 전략 제안
- 지역대학이 지역 소멸 방지 및 미래 성장의 핵심 역할 강조
- 실효성 있는 혁신 방안 수립을 위한 정책 지원 의지 표명
4. 정부의 AI 시대 지방대학 정책 필요성
- AI 전문 인력 양성, 지역 데이터 구축, 지자체-산업계 협력 생태계 조성 요청
- 국가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지방대학의 선도적 역할 강조
- 정책 수립 시 교육부·정치권·지자체 간 협력 필요성 언급
결론
- 지방대학은 AI 인프라 투자와 산학협력 체계 구축을 통해 지역 혁신 거점으로 자리매김해야 하며, 정부의 전략적 예산 지원이 필수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