비기술자도 4,000명 유입, AI로 만든 최소한의 여행 플랫폼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웹 개발
대상자
- 비기술자: 코드나 디자인 도구 없이 Markdown으로 여행 가이드 작성 가능한 사람
- 개발자: 오픈소스 프로젝트 참여를 원하는 기술자
- 난이도: 초보자도 AI 도구 사용으로 구현 가능
핵심 요약
- AI 도구 활용: ChatGPT와 Cursor를 사용해 Astro 기반 웹 플랫폼 개발 (예:
Astro
,Vercel
) - 기술적 장벽 해소: Markdown 파일로만 여행 페이지 생성, 코드나 디자인 지식 필요 없음
- 성과: 출시 12시간 만에 4,000명 방문, 오픈소스로 커뮤니티 참여 유도
섹션별 세부 요약
1. 아이디어의 탄생
- 문제 인식: 개발자/디자이너만이 웹 콘텐츠를 만들 수 있는 상황
- 솔루션 제시: Markdown으로 여행 가이드 작성 가능한 플랫폼 (예: "Notion + GitHub" 형식)
- 핵심 원칙: "기술적 평등" 실현을 위한 접근성 강조
2. 기술 스택 구축
- 프레임워크 선택: Astro를 사용한 정적 사이트 개발 (예:
Astro
,Vercel
) - AI 도구 활용:
- ChatGPT로 프로젝트 구조 설계 (예: Markdown 템플릿 생성
)
- Cursor로 실시간 코드 수정 및 리팩토링
- 배포: Vercel을 통해 간단한 CI/CD 설정
3. 마케팅 전략
- 채널: LinkedIn, Reddit, Product Hunt, Dev.to 등 기술 커뮤니티 공유
- 핵심 메시지: "Markdown으로 여행 루트 공유 가능"
- 성공 요인:
- 비개발자 대상의 간단한 사용 경험
- 오픈소스 레포지토리 공유 (예: github.com/wendy7756/globaltravelguide
)
- 시각적 데모 + 실제 스토리로 범용적 공감 유도
4. 커뮤니티 참여 유도
- 기여 방식:
- 레포지토리 Fork 후 Markdown 파일 추가
- Pull Request로 컨트리뷰션
- 활용 예시:
https://localtravelguide.fun
라이브 데모
결론
- 실무 팁: AI 도구(ChatGPT, Cursor)로 기술 장벽 해소, Markdown 기반 개발로 비개발자 참여 유도
- 핵심 성공 요소: 단순한 UI + 오픈소스 공유 + 사회적 공감 유도
- 추천: "기술적 평등"을 위한 최소한의 기술 스택 선택 (Astro + Vercel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