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I, 트렌드, 스타트업: 10~20년 기술 흐름 분석
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!
지금 바로 방문하기

10~20년 흐름을 보며 이해하기

카테고리

트렌드

서브카테고리

기획, 트렌드

대상자

비즈니스 및 기술 기획자, 스타트업 창업자, 기술 트렌드 분석자

  • 중간~고난이도: 트렌드 분석, 기술 발전의 본질 이해, 서비스 개발 전략 수립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대상자*

핵심 요약

  • 기술 트렌드는 2~3년 주기로 반복되며, 사람의 욕구는 시간이 지나도 크게 변하지 않는다.
  • 서비스 개발 시, 기술 트렌드에만 집중하기보다는 사람의 본질적 욕구에 집중해야 한다.
  • AI, 메타버스, 웹3 등 새로운 기술은 도구이며, 사람의 삶을 더 나아지게 하는 수단이 되어야 한다.

섹션별 세부 요약

2014년: 머신러닝/빅데이터의 시대

  • 머신러닝과 빅데이터가 MBA의 핵심 화두로 부상하며, 개인화 추천에 주목.
  • 넷플릭스, 구글, 아마존 등의 빅테크 기업들이 주도적 역할을 수행.

2010~2014년: 모바일 플랫폼과 공유경제

  • 모바일 플랫폼과 공유경제가 주요 키워드.
  • B2C 유저 대상의 freemium 모델로 빠른 유저 확보 및 scale-up 성공 사례 다수.

2016년 이후: 플랫폼 비즈니스의 한계와 B2B SaaS의 성장

  • 플랫폼 비즈니스에 대한 회의감 증가.
  • 수익성과 성장성 모두 갖춘 B2B SaaS 모델이 급부상.
  • 슬랙이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언급.

코로나19 이후: 비대면, AR/VR, AI의 등장

  • 코로나19로 비대면 기술과 AR/VR, 웹3, 비트코인 등에 대한 관심 증가.
  • AI, 특히 LLM, 반도체, AI Agent 등 AI 생태계 활성화.

사람의 욕구와 행동 패턴의 일관성

  • 기술 발전과 관계없이 사람의 욕구는 일정한 패턴을 유지.
  • 예: 게임을 통해 살펴보면, 20년 전과 지금까지 즐기는 게임 유형이 유사.

기술과 사람의 관계에 대한 성찰

  • 기술 트렌드는 빠르게 변화하지만, 사람의 본질적 욕구는 변하지 않음.
  • 기술은 도구이며, 사람의 삶을 더 나아지게 하는 수단이어야 함.
  • 기술에만 집중하기보다는, 사람 중심의 서비스 설계가 중요.

결론

  • 기술 트렌드를 따라가되, 사람의 본질적 욕구와 삶의 질 향상을 중심으로 서비스를 설계해야 하며, 기술은 도구일 뿐이므로 과도한 기술 중독은 피해야 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