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I가 만든 파도 위에서 당근이 서핑하는 법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인공지능
대상자
- *소프트웨어 개발자, AI 도입 기획자, 조직 문화 개선 담당자**
- 난이도: 중급 이상 (실무 적용 사례 중심)*
핵심 요약
- AI 중심의 프로덕트 재설계를 통해 사용자 경험 혁신
- 70% 가능성에 기반한 즉각적 실행과 실행 성과 공유 시스템 구축
- AI 도구(Cursor, Claude)와 워킹그룹 기반 협업으로 프로세스 혁신
섹션별 세부 요약
1. AI 전환의 배경과 전략
- AI 기술의 빠른 확산으로 기존 방식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음
- AI 네이티브 프로덕트 개발을 위해 “AI 스타트업 창업자” 시점으로 프로덕트 재정의
- 사용자 경험이 AI 도입의 최우선 가치로 강조
2. 실행을 위한 조직 구조 개선
- 70% 가능성 기준의 실행과 불필요한 회의/승인 절차 제거
- AI Show & Tell 세션을 통해 실행 성과 공유 및 학습
- 실행 속도가 AI 기술 확장의 핵심 요소로 인식
3. 아이덴티티 서비스팀의 AI 도입 사례
- 해커톤 기반의 AI 활용 탐색: 4일간의 빠른 실험으로 업무 자동화(요약봇, 온콜 메시지 요약)
- AI 도구 활용: Cursor, Claude로 반복 업무 자동화 및 CS 대응, 이상행동 탐지 확장
- 업무 생산성 향상과 사용자 경험 개선 이중 목표 달성
4. 부동산팀의 협업 방식 혁신
- 역할 구분 없는 AI 기능 개발: 피처톤 데이에서 AI 매물 정보 요약 기능 성공 사례
- 디자이너-엔지니어 협업을 통한 프롬프트 최적화 및 UI/UX 개선
- 직군 경계 허물기로 실행 속도와 문제 해결 협업 강화
5. 서비스 운영실의 실행 프레임워크 재정의
- 워킹그룹 기반 문제 해결 구조 설계: VoC Playground 개발 사례
- AI 기반 플랫폼으로 분석 시간 단축(기존 6개월 → 1주일)
- 실행-피드백-개선 사이클로 AI 프로젝트 가속화
결론
- AI 도입의 핵심은 실행 속도와 조직 구조 개편
- 70% 가능성 기준의 실행과 워킹그룹 기반 협업을 통해 AI 기술의 가능성 체감
- AI 도구(Cursor, Claude)와 사용자 중심의 프로세스 혁신이 성공 요소로 작용