알고리즘 활용으로 50% 성능 향상! 파라메트릭 서치 실무 사례
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!
지금 바로 방문하기

알고리즘, 과연 사용할 일이 없을까요?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웹 개발

대상자

  • *프론트엔드 개발자 (캔버스 기반 텍스트 에디터 성능 최적화 필요자) / 초보 알고리즘 학습자** (실무 적용 사례 이해)

핵심 요약

  • canvas.measureText() API를 활용한 텍스트 너비 측정 로직에서 선형 탐색(O(n)) → 파라메트릭 서치(O(log n))으로 성능 최적화
  • 50%의 응답 시간 개선(102.53ms → 56.41ms)을 달성한 실무 성능 향상 사례
  • 캐싱 복잡성동적 스타일 변경으로 인한 캐싱 비용 > 계산 성능 향상의 이점으로 직접 계산이 유리한 결정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초기 선형 탐색 방식의 문제점

  • canvas.measureText() API를 통해 텍스트 너비 계산
  • 한 글자씩 탐색 → O(n) 시간복잡도로 긴 텍스트 입력 시 성능 저하
  • 사용자 VOC: 스타일 변경 시 버벅거림, 긴 텍스트 입력 지연

2. 파라메트릭 서치 도입

  • 이분 탐색파라메트릭 서치의 차이점
  • "주어진 너비 내 최대 텍스트 길이" 찾기 → 조건 충족 시 오른쪽 절반 탐색, 초과 시 왼쪽 절반 탐색
  • findLineBreakPoint() 함수 구현 예시:

```javascript

function findLineBreakPoint(text, maxWidth) {

let left = 0, right = text.length, result = 0;

while (left <= right) {

const mid = Math.floor((left + right)/2);

const width = canvas.measureText(text.substring(0, mid)).width;

if (width <= maxWidth) {

result = mid;

left = mid + 1;

} else {

right = mid - 1;

}

}

return result;

}

```

3. 성능 측정 결과

  • 50%의 응답 시간 개선 (102.53ms → 56.41ms)
  • 시간복잡도 O(n) → O(log n) 개선
  • 긴 텍스트일수록 성능 차이 극명

4. 캐싱의 한계

  • 다양한 변수(폰트 스타일, 회전 각도, 레이아웃 등)로 인한 캐시 키 관리 복잡성
  • 캐시 무효화 타이밍 관리 및 메모리 누수 위험성
  • 직접 계산캐싱 로직 구현 비용보다 유리

결론

  • 알고리즘코딩테스트 용도가 아닌 실무 성능 최적화에 핵심적 → 파라메트릭 서치 적용으로 50% 성능 향상
  • 동적 환경에서는 캐싱 대신 O(log n) 계산이 더 효과적
  • "작은 최적화"라도 사용자 경험에 직접적 영향을 미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