알리바바·텐센트, 중국 대입 시험 중 일부 AI 기능 비활성화
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!
지금 바로 방문하기

알리바바·텐센트, 중국 대입 시험 중 일부 AI 기능 비활성화

카테고리

트렌드

서브카테고리

인공지능

대상자

  • *교육 기관, AI 개발자, 정책 입안자**
  • 난이도: 중간 (AI 기술의 규제 사례와 교육 정책의 현실적 적용 사례 분석)*

핵심 요약

  • 중국 대학입시 '가오카오' 기간 동안 AI 챗봇의 이미지 인식 기능 일시 중단
  • AI 기술의 부정행위 가능성에 대응한 시험장 규제 강화
  • 중국 교육부: AI 생성 콘텐츠 사용 금지 명시, 자동화된 채점 시스템 도입 계획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**가오카오의 중요성과 AI 부정행위 가능성**

  • 가오카오는 매년 약 1340만명의 수험생이 참여하는 전국적인 대학 입학시험으로, 교육 기회 결정에 결정적 영향을 미침.
  • AI 기술 발전으로 시험 문제 사진 촬영 → 챗봇 질문 입력 방식의 부정행위 가능성 제기.

2. **AI 기업의 대응 조치**

  • 알리바바(Qwen), 텐센트(Weiyuanbao), 바이트댄스(두바오) 등 주요 AI 챗봇이 7~10일간 이미지 분석 기능 차단.
  • 사용자에게 "대학입시 공정성 보장"을 이유로 기능 사용 불가 메시지 제공.

3. **중국 교육부의 규제 방향**

  • AI 역량 키우기 필요성 인정하지만, 시험 답안에 AI 생성 콘텐츠 사용 금지 명시.
  • AI 자동화 채점 시스템 개발 계획 공개 (현재 수천명 평가자 참여로 수주 소요).

결론

  • AI 기술의 교육적 활용과 규제의 균형이 중요하며, 시험장 AI 사용 제한은 단기적 대응이 아닌 장기적 정책 수립이 필요.
  • AI 기업과 교육 기관의 협업을 통해 부정행위 방지와 기술 발전을 동시에 추구해야 함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