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ltSchool Of Engineering Tinyuka’24 월간 리뷰: CSS 애니메이션 및 프레임워크 핵심 요약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웹 개발
대상자
프론트엔드 개발자 및 디자이너, CSS 애니메이션 기술 학습자
핵심 요약
- CSS 애니메이션과 전환 효과의 차이점
- transition
은 간단한 상태 전환에 적합 (예: 호버 효과)
- @keyframes
는 다단계 애니메이션, 스크롤 기반 애니메이션 등 복잡한 효과 구현에 필수
- 애니메이션 제어 프로퍼티
- transition-timing-function
: ease-in-out
, cubic-bezier
등으로 속도 패턴 조정
- animation-fill-mode
: forwards
로 애니메이션 종료 후 상태 유지
- Tailwind CSS 활용
- text-center
, bg-blue-500
등 유틸리티 클래스로 빠른 디자인 구현 가능 (현재 버전 3, 4 개발 중)
섹션별 세부 요약
1. 리뷰 세션 및 애니메이션 기초
transform
속성은inline
요소에 적용 불가,inline-block
또는 Flexbox/Grid로 변경 필요transition
속성은 요소의 상태 전환을 부드럽게 처리 (예: 색상 변경, 스케일 효과)transition-delay
로 효과 시작 전 대기 시간 설정 가능 (예: 500ms 대기 후 효과 실행)
2. `@keyframes` 애니메이션 구현
@keyframes
로 다단계 애니메이션 정의 가능 (예:0%
,50%
,100%
등 퍼센트 기반 키프레임 사용)animation-iteration-count
:infinite
로 무한 반복,number
로 반복 횟수 지정animation-fill-mode
:forwards
로 애니메이션 종료 후 최종 상태 유지
3. 스크롤 기반 애니메이션
animation-timeline: scroll()
으로 스크롤 위치에 따른 애니메이션 트리거 가능view()
타임라인을 사용해 요소가 스크롤 영역에 진입할 때 애니메이션 실행 (예:animation-timeline: view()
)
4. CSS 프레임워크 및 Tailwind CSS
- Tailwind CSS: 유틸리티 클래스 기반으로
text-center
,bg-blue-500
등으로 빠른 디자인 구현 - BEM:
Block
,Element
,Modifier
로 구성된 명명 규칙으로 재사용 가능한 CSS 구조 설계 - Sass/LESS: 변수, 중첩, 믹스인 등 기능 추가로 CSS 개발 효율성 향상
결론
- 실무 팁:
transition
은 간단한 효과에,@keyframes
는 복잡한 애니메이션에 적절히 사용 - Tailwind CSS 활용: 유틸리티 클래스로 프로토타입 개발 속도 향상
- 스크롤 애니메이션:
animation-timeline: scroll()
과view()
를 활용해 사용자 스크롤에 반응하는 디자인 구현 가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