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I 생존 아레나 게임 개발로 보는 Amazon Q CLI 활용 사례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웹 개발
대상자
- 초보 개발자에게 AI 도구 활용법 설명
- 중급 개발자에게 프롬프트 기술과 자동화 패턴 분석
- 게임 개발자에게 AI 기반 게임 로직 설계 예시 제공
핵심 요약
- Amazon Q CLI를 통해 프롬프트 분할 기법을 적용하면 복잡한 게임 로직도 효과적으로 생성 가능
- enemy_turn() 함수는 AI 대적자의 행동 선택 알고리즘으로, "defend" 시 random.choice로 "attack" 또는 "skill"을 반환
- 자동화 기능을 통해 README, 스크립트, 파일 구조 생성 가능, 수동 작업 최소화
섹션별 세부 요약
1. 게임 개요 및 개발 전략
- AI Survival Arena는 전략 요소와 AI 적대자를 포함한 턴제 전투 게임
- 프롬프트 기술을 통해 모듈화된 개발 방식 적용 (전체 설명 -> 세부 구현)
- AI 적대자 로직 생성 시 attack/defend/skill 선택 알고리즘 구현
2. 인터페이스 및 게임 시스템
- 캐릭터 생성 UI:
- Warrior: 고체력/방어력, 근접 공격
- Mage: 저체력, 강력한 마법
- Rogue: 균형된 능력, 고강도 특수 공격
- 전투 시스템:
- 턴 기반 전투 (공격/방어/스킬 선택)
- 스킬 회복 시간 적용 (스킬 사용 후 재사용 대기)
- AI 적대자는 사용자 행동에 따라 전략적으로 반응
3. 게임 진행 및 난이도 조절
- 승리 시 체력 회복 및 전투 성공 횟수 기록
- 난이도 조절 로직:
- 1단계(쉬움): 0-2 전투 성공
- 4단계(악몽): 10+ 전투 성공 시 최고 난이도 적용
결론
- Amazon Q CLI는 24/7 개발 동반자 역할 수행, 프롬프트 기술과 자동화 기능을 통해 효율적인 게임 개발 가능
- GitHub 링크: https://github.com/daohung01/AmazonQ-AI.git
- 핵심 팁: AI 적대자 로직 생성 시 enemy_turn() 함수의 random.choice 기능 활용, 스킬 회복 시간을 구현해 게임 균형성 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