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MD, 오픈AI 협업으로 MI450 칩 설계에 영향
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!
지금 바로 방문하기

AMD, 엔비디아 추격 핵심은 오픈AI 협업..."MI450 칩 설계에 상당한 영향 미쳐"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인공지능, 머신러닝

대상자

AI 개발자, 하드웨어 엔지니어, 데이터 과학자

핵심 요약

  • AMD는 오픈AI와 협업하여 차세대 AI 칩 MI450의 메모리 아키텍처 및 확장성 설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
  • ROCm 소프트웨어 생태계 강화를 통해 엔비디아의 CUDA 중심 생태계와 경쟁
  • AI 서버 '헬리오스' 출시로 엔비디아의 루빈 울트라 서버 전략과 맞서며 AI 인프라 시장 확대
  • 코히어 등 스타트업에 실질적 성과 제공, AMD 칩 활용 시 개발 시간 70% 이상 단축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오픈AI와의 협업 강화

  • MI450 칩 설계에 오픈AI의 메모리 아키텍처 최적화 요구 반영
  • 수천개 칩 연결 기반 대규모 AI 애플리케이션 지원 요구 반영
  • 샘 알트먼 CEO와 리사 수 CEO의 파트너십 강조로 AI 생태계 확장 기대

2. AI 서버 시장 진출

  • 2024년 출시 예정인 '헬리오스' 서버는 MI400 기반으로 AI 연산 특성 대응
  • 엔비디아의 루빈 울트라 서버(랙당 572개 GPU)와 유사한 다중 GPU 탑재 전략
  • AI 인프라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술적 투자 강조

3. 소프트웨어 생태계 확장

  • ROCm(Radeon Open Compute) 생태계 강화를 위해 소규모 소프트웨어 기업 다수 인수
  • CUDA 중심 생태계를 대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기술력 확보 전략
  • AI 개발용 소프트웨어 생태계 지속 고도화를 통한 장기적 경쟁력 확보

4. 실질적 성과 및 협업 효과

  • 코히어의 기업용 AI 모델 개발 시간 단축(기존 몇 주 → 며칠)
  • AMD 칩이 전 세계 인프라에서 차지하는 비중 상당히 높음
  • 하드웨어-소프트웨어 병행 강화로 엔비디아와의 경쟁력 확보

결론

  • AMD는 오픈AI 및 스타트업과의 협업을 통해 하드웨어-소프트웨어 종합 생태계 구축, 엔비디아와의 경쟁에서 차별화된 전략으로 시장 확대
  • ROCm 생태계 강화 및 AI 서버 '헬리오스' 출시를 통한 실무 적용 시 기술적 성공 사례로 활용