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ngular 20 버전의 주요 방향성과 변화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웹 개발
대상자
- 대상: Angular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프론트엔드 개발자 및 기술 트렌드를 이해하고자 하는 중급 이상 개발자
- 난이도: 중급 (모듈 기반 아키텍처와 스탠드얼론 컴포넌트의 차이점 이해 필요)
핵심 요약
- 스탠드얼론 컴포넌트(Standalone Components)가 Angular 19에서 기본값으로 도입되어, 기존 모듈 기반 구조에서 벗어남
- 모듈 기반 아키텍처는 대규모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여전히 유리하지만, 마이크로프론트엔드 및 소규모 앱 개발에 적합한 스탠드얼론 컴포넌트가 주요 트렌드
- 신규 기능: Signals (비동기 이벤트 성능 개선) 및 부분/점진적 하이드레이션(Partial/Incremental Hydration) (SSR 성능 최적화)
섹션별 세부 요약
1. Angular 20의 주요 변화 방향
- React의 성장으로 인해 Angular의 경쟁력 유지가 중요해짐
- TypeScript, 모듈, 복잡한 코드 구조를 피하고자 하는 개발자 수 증가
- 스탠드얼론 컴포넌트가 Angular 16에서 도입, 19버전에서 기본값으로 변경
2. 스탠드얼론 컴포넌트의 장단점
- 장점:
- 모듈 기반 구조 대비 간단한 프로젝트 초기 구조 제공
- 마이크로프론트엔드 및 소규모 앱 개발에 적합
- 새로운 개발자의 학습 곡선 완화
- 단점:
-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에서 모듈 기반 구조가 여전히 유리
- 복잡한 기능은 모듈로 구분이 필요
3. 성능 향상 기능
- Signals:
- 비동기 이벤트 처리 성능 향상
- React의 상태 관리와 유사한 신규 상태 관리 패턴 제공
- 부분 하이드레이션(Partial Hydration):
- SSR에서 즉시 렌더링과 점진적 데이터 로딩 결합
- 로딩 시간 최소화 및 사용자 경험 개선
4. 기존 모듈 기반 구조의 역할
- 대규모 애플리케이션 또는 공유 기능(Shared Functionalities) 개발 시 모듈 기반 아키텍처가 여전히 활용 가능
- 모듈은 스탠드얼론 컴포넌트와 병행하여 사용 가능
결론
- Angular 20은 스탠드얼론 컴포넌트의 확대 적용과 모듈 기반 구조의 병행 사용을 중점으로 삼고 있음
- 대규모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모듈 기반 아키텍처를, 소규모 앱/마이크로프론트엔드 개발 시 스탠드얼론 컴포넌트를 선택적 적용이 필요
- Signals와 하이드레이션 기능은 Angular의 성능 향상 방향을 반영하며, 향후 버전에서도 주요 기능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