앵귤러 20의 신호(signals)가 반응형 프로그래밍을 어떻게 간소화하는가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웹 개발
대상자
앵귤러 개발자, 반응형 프로그래밍을 사용하는 개발자
난이도: 중간 (RxJS 기본 지식 필수)
핵심 요약
- 신호(signals)는 RxJS Observables와 달리 구독/구독 해지를 수동으로 관리할 필요가 없어 메모리 누수 예방 및 반복 코드 제거
- computed() 함수를 통해 의존성 기반의 자동 업데이트로 불필요한 리렌더링 최소화
- 템플릿에서 직접 신호 바인딩 가능, UI와 데이터 동기화 자동화
섹션별 세부 요약
1. 구독 관리의 간소화
- 신호는 값 변경 시 자동으로 템플릿 및 의존 코드에 알림 전달
- RxJS Observables와 달리 수동 구독/해지 필요 없음
- 예시 코드:
```ts
const count = signal(0);
count.set(1); // 값 변경 시 자동 알림
```
2. 성능 최적화: 의존성 기반 업데이트
- computed() 함수로 생성된 값은 의존하는 신호(x, y)만 변경 시 자동 업데이트
- 예시 코드:
```ts
const z = computed(() => x() + y());
x.set(10); // z는 x 또는 y 변경 시만 업데이트
```
3. 템플릿과의 직접적인 통합
- 신호를 템플릿에 바인딩하면 UI 자동 동기화
- 예시 코드:
```ts
// 컴포넌트
count = signal(0);
increment() { this.count.update(v => v + 1); }
```
- 템플릿 변경 시 자동 리렌더링
4. 디버깅 및 코드 간소화
- 신호의 변경 흐름 추적이 용이하여 디버깅 효율성 향상
- RxJS Subjects와 복잡한 구독 체인 관리 필요 없음
- 로컬 컴포넌트 상태에 신호 사용 시 코드 양 50% 이상 감소
결론
- 신호(signals)는 로컬 상태 관리에 적합하며, RxJS의 복잡성을 피할 수 있음
- computed()와 템플릿 바인딩을 통해 성능과 유지보수성을 동시에 확보해야 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