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ngular NestedSignals()() 및 성능 최적화
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!
지금 바로 방문하기

Angular에서의 세분화된 반응성: Part 4 - NestedSignals()()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개발 툴

대상자

- Angular의 변경 감지 메커니즘과 signal 기반 최적화 기술에 관심 있는 개발자

- 앱 성능 개선을 위해 signal 및 nested signal 활용을 고려하는 중급 이상 개발자

- 난이도: 중급 (Angular의 변경 감지, signal 기반 프레임워크 기본 지식 필요)

핵심 요약

  • Angular v18 이상에서 signal 기반 변경 감지 최적화를 통해 HasChildViewToRefresh 상태로 부모 컴포넌트를 dirty로 표기하지 않음
  • NestedSignals()() 패턴은 입력값의 참조 변경만 감지하여 중간 컴포넌트의 불필요한 재렌더링 방지
  • linkedSignal을 사용한 배열 관리로 대량 리스트/테이블 성능 최적화 가능 (예: @mmstack/primitivesmapArray 활용)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Angular 변경 감지 메커니즘과 signal 기반 최적화

  • Angular의 변경 감지 3단계 (Dirty 마킹 → 상태 비교 → DOM 업데이트)
  • onPush 전략과 v18 이후 signal 기반 변경 감지 최적화 (ZonelessChangeDetection 기능 제외)
  • 버튼 클릭 시 ZonelessChangeDetection 미사용 시 부모 컴포넌트도 dirty로 표기되는 예외

2. injectable store 활용과 단점

  • 상태를 injectable store에 외부화하여 중간 컴포넌트 재렌더링 방지
  • 단점: 재사용성 감소, 유연성 저하 (예: CountStore 인젝션 예시)

3. NestedSignals()() 패턴과 활용

  • signal을 input으로 전달하여 참조 변경만 감지 (예: {{count()()}} 템플릿 사용)
  • 객체 감싸기 패턴으로 mutable signal 사용 가능 (예: CountState 타입 활용)
  • mutable()을 사용한 inline 값 변경 시 input 업데이트 가능

4. 배열 처리와 linkedSignal 활용

  • linkedSignal을 사용한 배열의 signal 안정화 (예: noteContents 배열 구성)
  • mapArray helper로 generic 배열 변환 처리 (예: @mmstack/primitives 활용)

결론

  • NestedSignals()() 패턴과 linkedSignal은 대규모 리스트 성능 최적화에 효과적
  • @mmstack/primitivesmapArray 활용을 통해 일반화된 배열 처리 가능
  • Angular v20 이후 zone.js optional peer dependency로 signal 기반 프레임워크 전환 가속화 예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