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PI 요청 제한: 서버 보호의 핵심 전략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API 개발
대상자
- 초보~중급 개발자,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설계자
- REST API 보안 및 성능 최적화에 관심 있는 개발자
- Java/Spring Boot 기반 시스템 구축자
핵심 요약
- API 요청 제한(Rate Limiting)은 서버 과부하 방지, 비정상 요청 차단, 비용 관리의 3대 핵심 목적을 달성하는 핵심 기술
- Spring Boot + Redis 기반 구현 예시 제공:
@RateLimiter
애노테이션 활용, Redis ZSET 구조로 요청 기록 관리 - 20,000 RPS(요청/초) 이상의 트래픽 시 서버 다운타임 발생 가능성 경고
섹션별 세부 요약
1. 문제 상황
- 2023년 블랙프라이데이에 e-커머스 플랫폼이 20,000 RPS 트래픽으로 인해 API 서버 셧다운
- 1,000만 달러 손실 발생, 보안 허점(봇 공격)과 스케일링 실패로 인한 사고
- API 요청 제한이 시스템 안정성과 비용 절감에 필수적임 강조
2. 기술적 구현 방법
- Spring Boot 기반 @RateLimiter 애노테이션 사용 예시
- Redis ZSET(SortedList) 데이터 구조를 활용한 요청 기록 관리
- Token Bucket 알고리즘 적용:
maxTokens=100
,replenishRate=10
등 파라미터 설정 - JWT 토큰 기반 인증과 연동된 동적 제한 정책(사용자별/앱별 제한 수치 설정)
3. 사례 분석: Fintech 스타트업
- Priya 개발자의 결제 API 사고: 15,000 RPS 트래픽으로 인한 서버 과부하
- Redis + Spring Boot 기반 레이트 제한 모듈 구현
- Redis ZSET으로 요청 시간 기록 후 1분 단위로 토큰 재충전
- 봇 공격 차단과 사용자 경험 개선(응답 시간 200ms → 50ms)
결론
- Spring Boot + Redis 기반 레이트 제한 모듈 구현 시
@RateLimiter
애노테이션과Redis ZSET
활용 필수 - 토큰 버킷 알고리즘 적용 시
maxTokens
,replenishRate
파라미터를 트래픽 패턴에 맞게 설정 - 모니터링 시스템(Grafana/Prometheus)과 연동하여 요청 패턴 분석 후 동적 제한 수치 조정 권장
- 보안 강화를 위해 JWT 토큰 기반 인증과 연동된 사용자별 제한 정책 설계 필수