아키텍처 결정 기록(ADR)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아키텍처 패턴과 설계 원칙
대상자
- 소프트웨어 개발 팀 및 아키텍트
- 중간~고급 수준의 개발자 (아키텍처 결정과 문서화 경험 필요)
핵심 요약
- ADR은 아키텍처 결정의 맥락, 문제점, 결과, 현재 상태를 문서화하여 팀 내 협업 효율성 향상
- 신규 팀원 온보딩과 프로젝트 복귀 시 의사결정 과정을 명확히 제공
- 간단한 템플릿, 버전 관리, 일관된 업데이트만으로 구현 가능
섹션별 세부 요약
1. 문제 상황
- 복잡한 프로젝트에서 아키텍처 결정이 시간이 지나면 맥락 및 의도가 모호해지는 문제 발생
- 중요한 결정 사항이 반복적으로 논의되는 비효율성
2. ADR의 정의
- ADR은 아키텍처 결정을 문서화하는 표준화된 방법
- 필수 요소:
- 결정 사항 (
Decision
) - 문제 상황 및 배경 (
Context
) - 결과 및 트레이드오프 (
Consequences
) - 결정 상태 (
Status
)
3. ADR의 장점
- 신규 팀원 교육 및 프로젝트 복귀 시 의사결정 기준을 명확히 제공
- 반복적 논의 방지 및 팀 내 협업 시간 절약
- 복잡한 도구 없이 간단한 템플릿과 버전 관리로 구현 가능
4. 실행 방법
- 최소한의 템플릿 사용과 지속적인 업데이트 필수
- GitHub ADR 프로젝트(https://adr.github.io/ad-practices/)에서 표준화된 예시 참조 가능
결론
- ADR은 아키텍처 결정의 문서화를 통해 팀 내 협업 효율성과 의사결정 투명성을 높이는 핵심 도구
- 즉시 실행 가능한 간단한 템플릿과 버전 관리로 도입 가능
- GitHub ADR 프로젝트(https://adr.github.io/ad-practices/)를 참고하여 표준화된 접근법 적용