비동기 JavaScript 처리 7가지 전략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웹 개발
대상자
- 대상자: 중급 이상의 프론트엔드 개발자, UI/UX 성능 최적화 필요자
- 난이도: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한 실용적 패턴 제시 (중급 이상)
핵심 요약
- 비동기 처리 전략:
setTimeout()
반복,scheduler.postTask()
정밀 제어,Web Workers
완전 분리 3가지 핵심 패턴 강조 - 성능 향상:
requestAnimationFrame()
과MessageChannel
으로 렌더링 주기와 마이크로딜레이 관리 가능 - 실무 적용: 복잡한 계산 로직 분리 시
Web Workers
사용 권장, 단순 반복 시setTimeout()
활용
섹션별 세부 요약
1. setTimeout() 반복 패턴
- 기능: 주기적 태스크 분할로 UI 블로킹 방지
- 장점: 단순한 구현, 브라우저 호환성 우수
- 단점: 정밀한 타이밍 제어 불가
2. scheduler.postTask() 사용
- 기능: 브라우저 렌더링 주기와 동기화된 정밀한 태스크 실행
- 장점: 프레임 레이트 기반 제어 가능
- 단점: 최신 브라우저 지원 필요
3. requestAnimationFrame() 활용
- 기능: 렌더링 주기와 연동하여 UI 일관성 유지
- 장점: 화면 갱신과 동기화, 사용자 경험 향상
- 단점: 비렌더링 작업에 적합하지 않음
4. Web Workers로 완전 분리
- 기능: 백그라운드 스레드에서 중량 로직 실행
- 장점: UI 블로킹 완전 방지, 병렬 처리 가능
- 단점: 셰어드 상태 관리 복잡, 데이터 전달 오버헤드 존재
5. MessageChannel으로 마이크로딜레이 제어
- 기능: 마이크로태스크 큐를 활용한 정밀한 타이밍 조절
- 장점: 렌더링 간섭 최소화, 고정밀 태스크 분할
- 단점: 복잡한 코드 구조, 유지보수성 저하 가능성
결론
- 실무 권장: UI 블로킹이 발생하는 중량 로직은
Web Workers
를, 간단한 반복 작업은setTimeout()
을, 프레임 기반 동작은requestAnimationFrame()
사용 - 핵심 팁: 각 패턴의 사용 조건을 정확히 파악하고, 성능 프로파일링 도구로 결과 검증 필수