비동기 프로그래밍의 핵심 원리와 실무 적용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웹 개발
대상자
- 초보 개발자 및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처음 접하는 학습자
- Rust 언어와 Tokio 라이브러리 사용자
- 고성능 API 개발 및 대규모 동시 요청 처리 필요자
핵심 요약
tokio::time::sleep
및futures::future::join_all
활용으로 1,000개 이상의 동시 요청 처리 가능AsyncTaskManager
구조체를 통해 비동기 작업 통계 추적 (완료/실패/처리 시간 등)StreamProcessor
를 통해 대규모 데이터 스트림 처리 및 버퍼링 최적화
섹션별 세부 요약
1. 비동기 프로그래밍 필요성
- 전통적인 동기 모델의 스레드 생성 오버헤드로 인한 성능 저하
- 100개 이상의 동시 요청 시 연결 지연 시간 500ms 이상 발생
hyperlane
라이브러리 사용으로 비동기 작업 관리자 구현
2. 비동기 작업 관리자 구현
AsyncTaskManager
구조체에서AtomicU64
사용으로 비동기 작업 통계 추적execute_task
메서드로 비동기 작업 실행 및 결과 처리get_statistics
메서드로 작업 처리 성능 지표 수집
3. 스트림 처리 기술 적용
DataStream
구조체를 통해 비동기 데이터 생성 시뮬레이션StreamProcessor
에서 버퍼링 기반 병렬 처리 (buffer_size 기준)process_batch
메서드로 비동기 처리 작업 병렬화
결론
tokio
라이브러리 활용으로 비동기 작업 병렬화 및 스트림 처리 가능AsyncTaskManager
구조체를 통해 실시간 작업 통계 추적futures::future::join_all
사용으로 대규모 요청 처리 성능 극대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