보법이 다른 B2B 디자인
분야
사용자 경험/디자인
대상자
B2B 제품 디자이너 및 이해관계자, B2C와의 차이를 인식하고 전략적 디자인을 구현하는 전문가
난이도: 중급~고급 (사용자 행동 분석, 데이터 해석, 복잡한 사용자 환경 이해 요구)
핵심 요약
- B2B 디자인은 B2C와 달리 유저 수가 적지만 LTV/CAC가 높아 정량 데이터만으로 개선점을 파악하기 어렵다.
- 유저 인터뷰와 VOC는 제품 문제의 본질을 파악하는 유일한 방법이며, 쉐도잉을 통한 실제 사용자 경험 이해가 필수적이다.
- 사용자 행동에 제약이나 목적(예: 매장의 주문 의무)이 존재하므로 지표 왜곡이 자주 발생하며, 정량 데이터는 보조적 도구로 활용해야 한다.
- 모든 요청을 동일하게 평가하는 실수를 피하고, 문제 정의부터 체계적으로 접근하여 사용자 중심의 솔루션을 도출해야 한다.
섹션별 세부 요약
- B2B 디자인의 복잡성과 유저 연구의 중요성
- B2B 제품은 기능이 많고 활용 형태가 다양해, 초기 리서치와 쉐도잉을 통해 제품 이해가 필수적이다.
- *B2C와 달리 유저 수가 적지만, 한 명당 가치가 높아 정량 데이터 중심의 A/B 테스트가 제한적이다.**
- 유저의 실제 사용 목적(예: 매장의 주문 의무)이 있으므로, 데이터 기반 개선보다는 사용자 행동의 행간을 읽는 인터뷰가 중요하다.
- 인터뷰 드리븐 개발 방식과 데이터 활용 전략
- 대부분의 일감은 고객 인터뷰를 기반으로 진행되며, 데이터는 편향 가능성 있는 보조적 도구로 활용된다.
- 정량 지표는 성과 측정에 사용되지만, 통계적 유의미함보다는 경향 관찰에 중점을 둔다.
- FAQ, Help 페이지 등 사용 설명서와 온보딩을 통해 복잡한 기능을 명확히 전달하는 것이 필요하다.
- 문제 정의의 중요성과 B2B 시장의 성장 잠재력
- 모든 고객 요청을 동일하게 평가하는 실수는 핵심 문제에 집중하지 못하게 하며, 페르소나 없이는 효율적인 디자인을 도출할 수 없다.
- B2B 시장은 경쟁이 적고 Lock-in 효과가 강해, 안정적인 성장 구조를 갖추고 있으나, 폭발적 성장은 기대하기 어렵다.
- 디자인의 핵심은 '누구에게, 무엇을, 어떻게, 왜 제공할 것인가'를 뾰족하게 정하고, 이를 효과적으로 실행하는 방안 탐구에 있다.
결론
- B2B 디자인은 정량 데이터보다 유저 인터뷰와 쉐도inging을 통한 실질적 사용자 경험 분석이 핵심이며, 정량 지표는 보조 도구로 활용해야 한다.
- 모든 요청을 동일하게 평가하는 대신 문제 정의를 철저히 하여 사용자 중심의 솔루션을 개발해야 한다.
- B2B 시장은 안정적인 성장 잠재력을 가진 분야이므로, 사용자 경험의 질을 높이는 디자인 전략이 중요하다.
- 디자이너는 데이터 드리븐 환경에서 직관을 활용해 사용자 행동의 행간을 읽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핵심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