Virtualization and Containers: A Beginner's Guide
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!
지금 바로 방문하기

가상화 및 컨테이너의 기초 가이드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DevOps

대상자

  • 소프트웨어 개발자, DevOps 엔지니어, 시스템 관리자
  • 중간~고급 수준의 기술 이해가 필요
  • 인프라 자동화, 리소스 관리,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분야에 관심 있는 사람

핵심 요약

  • 가상화는 물리적 서버의 비용 절감, 확장성 향상, 리소스 효율화를 위해 하이퍼바이저(예: VMware ESXi, KVM)를 사용하여 가상 머신(VM)을 생성하는 기술
  • 하이퍼바이저 유형:
  • 타입 1(bare metal): 하드웨어와 직접 상호작용 (예: VMware vSphere, Xen)
  • 타입 2(hosted): 기존 OS 위에서 실행 (예: VirtualBox, VMware Workstation)
  • 컨테이너는 VM과 달리 호스트 OS와 밀접하게 연동하며, 파일 시스템, CPU/RAM, 프로세스 공간을 공유하여 가볍고 이동성이 뛰어남 (예: Docker 기반)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가상화의 필요성

  • 비용 절감: 물리 서버 대신 가상 머신 사용으로 하드웨어 구매 및 유지 비용 감소
  • 확장성 향상: DevOps 도입으로 리소스 할당/해제 자동화 가능
  • 효율성: 서버 사용량 감소 시 리소스 할당량 조정 가능

2. 가상화의 동작 원리

  • 하이퍼바이저(hypervisor)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사이의 중간 레이어로, 가상 머신 생성 및 관리
  • 호스트 OS(host OS)는 가상화 시스템을 실행하는 OS
  • 게스트 OS(guest OS)는 가상 머신 내에서 실행되는 OS

3. 하이퍼바이저 유형

  • 타입 1(bare metal):
  • 하드웨어와 직접 연결
  • 예: VMware ESXi, KVM, Xen
  • 타입 2(hosted):
  • 기존 OS 위에서 실행
  • 예: VirtualBox, VMware Workstation

4. 컨테이너의 특징

  • VM과의 차이:
  • VM은 호스트 OS와 완전히 분리
  • 컨테이너는 호스트 OS와 공유 (파일 시스템, CPU/RAM, 프로세스)
  • 장점:
  • 가볍고 이동성 뛰어남
  • 호스트 OS의 기능을 활용 (예: 네트워크, 보안, 프로세스 관리)
  • 컨테이너 엔진(예: Docker)을 통해 리소스 관리

결론

  • 컨테이너는 VM보다 리소스 효율성이동성에서 우위를 차지하며, DevOps 및 클라우드 인프라에서 주로 활용
  • 하이퍼바이저(타입 1/2)와 컨테이너 엔진(예: Docker) 선택 시 인프라 규모, 사용 목적, 보안 요구사항을 고려해야 함
  • 실무 적용 시: Docker를 활용한 컨테이너화를 통해 개발-배포-운영 통합(DevOps)을 구현할 수 있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