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진 검색 트리(BST)의 핵심 개념과 활용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데이터 분석
대상자
- 소프트웨어 엔지니어, 알고리즘 학습자, 컴퓨터 공학 입문자
- 난이도: 중급 (트리 구조와 탐색 알고리즘 기초 지식 필요)
핵심 요약
- 이진 검색 트리(BST)는 노드의 왼쪽 서브트리 값 < 부모 노드 값 < 오른쪽 서브트리 값이라는 구조를 기반으로 O(log n) 시간 복잡도로 검색/삽입/삭제 가능
- BST의 핵심 특성은 정렬된 데이터의 효율적 관리로, 정렬되지 않은 데이터는 BST로 변환할 수 없음
- BST의 최악 시간 복잡도는 O(n) (불균형 트리 발생 시) → AVL 트리, 레드-블랙 트리 등 균형 트리 사용 권장
섹션별 세부 요약
1. 이진 검색 트리(BST)의 정의
- BST는 이진 트리의 한 종류로, 각 노드에 하나의 키가 저장되며, 왼쪽 서브트리 노드의 값 < 부모 노드 값 < 오른쪽 서브트리 노드의 값을 만족
- 중복 키 허용 여부에 따라 구현 방식이 달라짐 (일부 구현은 중복 허용)
- BST는 정렬된 데이터의 저장 및 검색을 위한 기초 자료 구조로, 트리의 높이에 따라 성능이 달라짐
2. BST의 기본 연산
- 검색: 루트 노드부터 시작해 탐색 키와 비교 → 오른쪽/왼쪽 서브트리로 이동 (O(log n) 평균 시간)
- 삽입: 새로운 노드를 적절한 위치에 삽입 (BST 구조 유지)
- 삭제: 삭제 대상 노드의 자식 수에 따라 3가지 경우 처리 (리프 노드, 1개 자식, 2개 자식)
3. 시간 복잡도와 한계
- 균형 트리일 경우 O(log n) 시간 복잡도 (AVL, 레드-블랙 트리 등)
- 불균형 트리일 경우 O(n) 시간 복잡도 (예: 노드가 일렬로 연결된 경우)
- BST는 데이터의 분포에 따라 성능이 크게 영향을 받음 → 균형 트리 사용 권장
결론
- BST를 사용할 경우, 트리 균형 상태를 항상 확인해야 성능 저하를 방지
- AVL 트리 또는 레드-블랙 트리 사용을 통해 O(log n) 시간 복잡도 유지 가능
- BST는 데이터의 정렬 상태가 필요하므로, 불균형한 데이터는 다른 자료 구조(예: 해시 테이블)를 고려해야 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