로컬에서 프로덕션까지: 원격 MCP 서버 구축 가이드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DevOps
대상자
AI 개발자, DevOps 엔지니어, 멀티에이전트 시스템 구축자
난이도: 중급(프레임워크 이해 및 컨테이너 기술 기초 필요)
핵심 요약
- MCP(Model Context Protocol)는 API 기반 접근에서 벗어나 에이전트와 툴 간 표준화된 통신 프로토콜로, JSON-RPC-over-HTTP를 기반으로 구축됨
- FastMCP는 FastAPI 기반 서버로, HTTP를 통한 컨텍스트 노출 및 스키마 정의를 지원하며 Kubernetes와 호환 가능
- Kubernetes 배포 시
--host 0.0.0.0
설정 필수, Nginx Ingress Controller에서 프록시 버퍼링 비활성화 및 타임아웃 설정이 필수적 - 보안 고려사항으로 기본 오픈 엔드포인트의 위험성, 인증 메커니즘 및 비밀 관리 필요
섹션별 세부 요약
1. MCP의 필요성과 기존 API 접근의 한계
- API 기반 통신은 수작업 인증 및 커스텀 코드 필요로 스케일링 어려움
- MCP는 에이전트가 툴의 컨텍스트를 자동 학습 가능, 통합 계층 단순화
- 표준화된 프로토콜로 도구가 MCP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방식
2. FastMCP 서버 구축 예시
- FastMCP는 FastAPI 기반 서버로,
MCPTool
클래스를 구현하여 컨텍스트 정의 - Dockerfile 예시
```python
FROM python:3.11-slim
WORKDIR /app
COPY . /app
RUN pip install fastmcp uvicorn
CMD ["uvicorn", "mcp_joke_server:app", "--host", "0.0.0.0", "--port", "8000"]
```
- HTTP를 통한 컨텍스트 노출 및 비동기 지원
3. Kubernetes 배포 설정
- Ingress 설정 예시
```yaml
apiVersion: networking.k8s.io/v1
kind: Ingress
metadata:
name: mcp-joke-ingress
annotations:
nginx.ingress.kubernetes.io/proxy-buffering: "off"
nginx.ingress.kubernetes.io/proxy-read-timeout: "3600"
spec:
rules:
- host: joke-tool.example.com
http:
paths:
- path: /
pathType: Prefix
backend:
service:
name: mcp-joke-service
port:
number: 8000
```
- 프록시 버퍼링 비활성화 및 타임아웃 조정 필수
- localhost 바인딩은 컨테이너 외부 접근 불가
4. MCP 보안 고려사항
- 기본 엔드포인트는 오픈 상태로 프로덕션 환경에서 위험
- 미구현 사항
- 에이전트 인증 방식
- 세부 권한 관리
- API 키 등 비밀 데이터 관리
5. MCP 구현 팁
kubectl logs
및curl -v
활용하여 Ingress 설정 디버깅- FastMCP는 스키마 검증, 비동기 지원, 스트리밍 연결 제공
- GitHub 저장소를 통해 최신 변경사항 추적 권장
결론
- MCP 서버 구축 시 표준화, 스트리밍, 보안 3가지 원칙 준수 필수
- Kubernetes 배포 시
--host 0.0.0.0
설정 및 Nginx Ingress 설정 최적화 - 보안을 위한 인증/권한 관리와 비밀 데이터 관리 구현 필요
- Model Context Protocol GitHub 저장소를 통해 최신 트렌드 및 변경사항 확인 권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