플라스크로 시작하는 파이썬 웹 마법: 간단한 RESTful API 구축 가이드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웹 개발
대상자
- 초보자~중급 개발자
- RESTful API 구축에 관심 있는 파이썬 개발자
- 가벼운 웹 프레임워크 탐구자
핵심 요약
- Flask는 "마이크로" 웹 프레임워크로,
jsonify
,request
등의 핵심 API를 통해 간단한 RESTful API 구현 가능 - 예제 코드에서
books
리스트를 메모리 기반 데이터베이스로 사용해 GET/POST 메서드의 CRUD 기능 구현 - Flask의 장점: 가볍고 유연하며 SQLAlchemy, Jinja 등 외부 도구와 호환성 우수
섹션별 세부 요약
1. Flask란 무엇인가?
- "마이크로"라는 의미: 데이터베이스 레이어, 폼 검증 등 추가 도구 없이 최소한의 기능 제공
- 개발자에게 완전한 컨트롤 권한 부여 (예: 앱 구조 자유롭게 설계)
- 가볍고 빠른 시작이 가능하며, 확장성과 유연성 강조
2. 첫 번째 Flask API 구축 방법
- 환경 설정:
pip install Flask
명령어로 설치 후app.py
파일 생성 - 핵심 코드 구성:
Flask(__name__)
인스턴스 생성,@app.route
데코레이터로 라우팅 정의 - 예제 기능:
/books
경로에서GET
요청 시 JSON 형식의 책 목록 반환,POST
요청 시 새 책 추가 - 에러 처리:
404 Not Found
응답 반환 및201 Created
상태 코드 사용
3. Flask 사용 이유
- 시작이 간단하며 API/마이크로서비스 개발에 적합
- SQLAlchemy, Jinja 등 외부 도구와의 호환성 강점
- 필요한 기능만 포함 가능 (모듈식 설계 원칙)
4. 다음 단계: API 확장 및 데이터베이스 통합
- 추가 기능:
DELETE /books/
로 책 삭제,PUT /books/
로 책 수정 구현 제안 - SQLite 데이터베이스와 SQLAlchemy 통합 예시 제공 (SQLAlchemy ORM 사용 권장)
결론
- Flask는 프로토타입, 풀스택 앱, 모바일 백엔드 등 다양한 시나리오에 적용 가능
- 다음 단계: SQLAlchemy를 사용해 SQLite와의 통합, 또는
Flask-RESTful
확장 패키지 활용 권장 - 핵심 팁:
debug=True
모드는 개발 단계에 유리하지만, 프로덕션에서는 비활성화 필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