비즈니스 바보의 시대
카테고리
기획
서브카테고리
비즈니스 전략
대상자
- 비즈니스 리더, 경영자, 정책 입안자, 기업 전략가
- 중간~고급 수준의 이해 (신자유주의, 조직 구조, 기술 유행 분석 포함)
핵심 요약
- 주주가치 극대화 중심의 신자유주의가 실질적 문제 해결을 방해하고, 리더십의 본질적 결함을 유발함
- AI 도입 등 기술 유행은 형식적 성공을 추구하는 상징적 리더십의 예시로, 실질적 가치 창출과 동떨어짐
- "Rot Economy"는 핵심 제품 품질 희생, 실속 없는 서비스, 타인을 이익 도구로 간주하는 현대적 봉건 체제를 의미함
섹션별 세부 요약
1. **경영진의 실질적 무능력과 리더십의 본질적 결함**
- 경영진이 일의 본질을 이해하지 못하고, 겉치레와 상징적 행위에 집중
- AI 도입은 실제 효과 분석 없이 '남들이 하니까'라는 이유로 무분별하게 추진
- Nadella의 Copilot 의존 사례는 리더십에 심각한 결함을 드러냄
- 형식적 관리자와 허울만 좋은 리더가 조직 전체에 실질적 생산성과 혁신 부재를 초래
2. **신자유주의와 주주가치 중심 사고의 구조적 부패**
- Milton Friedman의 주주가치 극대화 주장이 사회적 책임과 평등을 경시
- "Bullshit Jobs" 확장은 실질적 문제 해결과 고객 요구와의 단절을 증대
- 영국의 민영화, 주거/에너지 위기 등은 어설픈 경영 사고에서 기인
3. **기술 유행의 무분별한 도입과 실질적 가치 부재**
- ServiceNow, IBM의 AI 투자 사례에서 25%만 기대 성과 달성, 명확한 가치 없이 유행 따라 투자
- Johnson & Johnson의 AI 사용례는 실질 가치 검증된 사례만 의미 있음
- AI, 메타버스, 암호화폐 등은 권력자의 '결정'이나 '분위기'에 따라 무분별히 도입
4. **사회 전반의 혁신 저해와 생산성 악화**
- 관리자와 임원이 실무와 점점 멀어지며, 책임과 공로의 배분에만 초점
- 현장 문제와 고객 요구로부터 조직이 멀어지며, 최고위층의 현실 참여 약화
- 미디어가 CEO 인터뷰에서 실질적 질문 없이 상징적 메시지 반복
결론
- 실질적 문제 해결과 본질적 효용에 초점을 맞춘 리더십과 전략이 요구됨
- 기술 유행은 표면적 성장이 아닌 실질적 가치 창출을 위한 비판적 성찰이 필요함
- 주주가치 중심의 신자유주의를 사회적 책임과 지속 가능성으로 재정립해야 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