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이해하는 C4 모델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아키텍처 패턴과 설계 원칙
대상자
- 소프트웨어 개발자, 시스템 아키텍트, 프로젝트 매니저
- 초보 개발자와 고급 개발자 모두에게 유용
- 아키텍처 문서화, 팀 협업, 리뷰 및 설계 검토에 초점을 맞춘 학습자
핵심 요약
- C4 모델은 시스템 아키텍처를 4단계(Context → Container → Component → Code)로 구조화하여 클리어한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한다.
- 도구 독립적(도면, ASCII 아트, Structurizr 등 사용 가능)이며 추상화와 세부 수준의 분리를 강조.
- 사용 사례: 신규 팀원 온보딩, 리뷰 시 아키텍처 설명, 복잡한 모놀리스 이해.
섹션별 세부 요약
1. C4 모델의 4단계
- Level 1 (Context): 시스템이 전체 환경에 어떻게 통합되는지 시각화 (사람, API, 외부 서비스 등 포함).
- Level 2 (Container): 웹 앱, 데이터베이스, 백그라운드 서비스 등 배포 가능한 단위로 분해.
- Level 3 (Component): 컨테이너 내부의 로직 단위 (예: 라우터 핸들러, 서비스 모듈).
- Level 4 (Code): UML 클래스 다이어그램 등 코드 레벨 구현을 보여줌.
2. 각 레벨의 핵심 목적
- Context 레벨: 이해관계자(매니저, 스토리보드)에게 시스템의 목적과 상호작용 대상을 명확히 전달.
- Container 레벨: "우리는 어떻게 배포하고 실행하는가?"에 초점 (예: Docker는 포함하지 않음).
- Component 레벨: 로직 기반 그룹화로 개발자 간 협업을 개선 (예: 컨트롤러, 서비스, 유틸리티 분리).
- Code 레벨: 라이브러리 문서화, 아키텍처 교육, 코드에서 자동 생성 시 사용.
3. C4 모델의 주요 원칙
- 추상화 혼합 금지: 예: 시스템 다이어그램에 저수준 기술(예: 데이터베이스 유형) 포함하지 않음.
- 레이블링과 설명 필수: 화살표, 색상, 용어(예: "service", "component")에 명확한 정의 제공.
- 도구 선택 유연성: Structurizr, PlantUML, Pen & Paper 등 사용 가능.
4. C4 모델의 실무 적용
- 도구 예시:
- Structurizr DSL (텍스트 기반 다이어그램)
- PlantUML + C4 확장
- Diagrams.net / draw.io
- 펜과 종이 (간단한 시스템 설명 시 효과적)
- 실용성 강조:
- 복잡한 아키텍처 이해, 리뷰 시 의존성 분석, 위협 모델링 등에 사용.
- 자동화된 문서 생성 (예: LiveAPI 도구로 API 문서 자동화).
결론
- C4 모델은 도구의 복잡성보다 "공유된 이해"를 목표로 한다.
- 신규 개발자는 컨텍스트 이해가 빠르고, 고급 개발자는 의존성과 리스크 분석이 용이해진다.
- 실무 팁:
- 각 레벨에 맞는 대상자별 맞춤형 설명 (예: 매니저에게는 Context, 개발자에게는 Component 제공).
- 자동화 도구(LiveAPI 등) 활용으로 문서화 시간 절약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