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DP 구축 단계에서 마주하는 문제들
카테고리
데이터 분석
서브카테고리
데이터 분석
대상자
데이터 엔지니어, 마케팅 전문가, BI 분석가, 기술 기획자
(난이도: 중급 이상, 데이터 통합 및 마케팅 자동화 이해 필요)
핵심 요약
- 데이터 사일로(Data Silo) 문제 해결을 위해 CDP 레퍼런스 아키텍처 도입 필요
- Single Customer View(SCV) 구축을 위한 ID Resolution 과정(확률론적/결정론적 방식 병행)
- 고객 여정 분석을 위해 L0~L2 데이터 계층 구조 설계 필수
- 데이터 거버넌스 강화: 개인정보 분리, 암호화, 컴플라이언스 준수
섹션별 세부 요약
1. 데이터 사일로 문제의 심각성
- 조직 간 데이터 중복/고립으로 인한 고객 식별자(CI) 불일치
- 옴니채널 분석 시 데이터 통합 어려움 발생
- 수요별 개별 데이터 레이크 구축 → 데이터 사일로 악순환
- CDP 레퍼런스 아키텍처 도입으로 중복 작업 최소화
2. 고객 경험 분석의 한계와 해결 방향
- 기존 도구: 마이크로 행동 측정(클릭 수, 체류 시간 등)
- 고객 여정 전체 이해를 위한 접점(Touchpoint) 체계적 설계 필요
- L0(원천 데이터) → L1(가공 데이터) → L2(파생 지표) 계층 구조로 통합 분석
- Amplitude 사례: 고객 행동 패턴 기반의 확률론적 ID 매핑
3. 실시간 데이터 처리의 중요성
- 고객 행동에 즉각 대응을 위한 실시간 수집/분석 필요
- 리소스 효율성 고려: Use Case별 실시간 처리의 실효성 검토 필수
- CDP는 기술적 인프라로 실시간 처리 기능 구현
4. 데이터 거버넌스의 필수성
- 민감 정보 보호 위해 개인정보/일반 데이터 분리
- 암호화, 해시 처리, 범주화 등 보안 방식 적용
- L0~L2 데이터 체계 관리 시 정보보호 기준 준수
결론
- CDP 구축 시 데이터 통합 전략, ID Resolution 기법, 계층화된 데이터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설계
- 데이터 거버넌스 정책과 실시간 처리 기능의 균형 유지
- 跨部门 협업과 표준화된 모델링을 통해 데이터 사일로 문제 해결 → 고객 중심 마케팅 전략 실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