법원, ChatGPT 대규모 감시 프로그램 주장 기각: OpenAI 데이터 보존 명령
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!
지금 바로 방문하기

판사, ChatGPT 사용자 모두에게 해를 끼치는 '대규모 감시 프로그램' 주장 기각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DevOps

대상자

AI 서비스 개발자, 데이터 관리자, 프라이버시 보호 담당자

난이도: 중급 이상 (법적·기술적 이슈 모두 포함)

핵심 요약

  • OpenAI에 모든 ChatGPT 로그(삭제된 채팅 포함) 무기한 보관 명령이 내려짐
  • 사법부는 수사기관이 아니며, 문서 보존 명령은 감시 프로그램이 아니라는 판결
  • 사용자와 디지털 권리 단체(EFF)는 프라이버시 위험과 데이터 통제권 부재를 지적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법원의 데이터 보존 명령

  • 미국 법원은 OpenAI에 ChatGPT 로그와 삭제된 채팅을 무기한 보관하도록 명령
  • 명령 목적: 저작권 소송의 증거 확보
  • 사용자 중 일부는 민감한 개인정보 및 상업 정보 입력 경험이 있음

2. 사용자 및 EFF의 반발

  • 사용자는 '대규모 감시 프로그램' 주장, 사전 고지 없이 삭제·익명 채팅 보관에 우려
  • EFF는 사용자 프라이버시 위험과 향후 데이터 악용 가능성 강조
  • 의료·금융·법률 등 민감 주제 채팅에 대한 예외 적용 요구

3. 판사의 기각 사유

  • "문서 보존 명령은 감시와 무관하며, 법원은 수사기관이 아니다"
  • 개입 요청이 '사실관계 규명이나 소송 쟁점과 무관'으로 간주
  • 현재는 데이터 전달 사례가 없어, 향후 논의 가능성이 남음

4. 향후 논의 및 제안

  • AI 챗앱 업체가 삭제 요청 시 진짜 기록 삭제 및 투명한 데이터 요청 고지 필요
  • 사용자 데이터 보존 및 공개 과정의 투명성, 고지 절차, 사후 구제 방안 주요 이슈로 부상
  • 로컬 LLM 사용이 현실적인 대안으로 제시

결론

  • 데이터 통제권과 투명성 확보가 필수적, 사용자 데이터 보존 과정의 사후 구제 방안 마련 필요
  • 법적·기술적 측면에서 데이터 보존 명령의 잠재적 위험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와 감시 필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