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I/CD for Monorepos: Taming the Beast with Smart Strategies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DevOps
대상자
- *대상자**: 중급 이상의 CI/CD 경험을 가진 개발자 및 DevOps 엔지니어
- *난이도**: 중간 (CI/CD 도구 및 모노레포 아키텍처에 대한 기초 지식 필요)
핵심 요약
- 핵심 전략:
- 스마트 테스트 (
npx turbo run test --filter=my-app
): 변경된 프로젝트만 대상으로 테스트 수행. - 강력한 캐싱 (
actions/cache@v3
):node_modules
및 Docker 레이어 재사용으로 빌드 시간 최적화. - 타겟 데플로이먼트:
git diff
로 변경된 마이크로 서비스만 배포하여 비용 절감. - 도구 추천:
- Nx/Turborepo: 영향 받은 프로젝트 분석 및 작업 오케스트레이션.
- Bazel: Google-grade 모노레포 빌드 시스템.
- 성과 사례:
- 10인 스타트업: Turborepo + GitHub Actions로 빌드 시간 20분 → 2분 단축, 클라우드 비용 절감.
섹션별 세부 요약
1. 모노레포의 장단점
- 장점: 의존성 통합, 교차 프로젝트 리팩토링, 협업 효율성 향상.
- 단점: CI/CD 최적화 미비 시 단일 커밋이 전체 시스템에 영향.
- 도전 과제:
- 과도한 테스트: 모든 변경 사항마다 전체 빌드 수행.
- 의존성 지옥: 특정 라이브러리 사용 프로젝트 추적 어려움.
- 느린 파이프라인: CI가 성능 병목 지점.
2. 도구 및 전략
- Nx/Turborepo/Bazel: 변경된 파일을 기반으로 영향 받은 프로젝트 추적 (
npx turbo run test --filter=my-app
). - 캐싱 전략:
- 의존성 캐싱:
node_modules
또는.m2
폴더 재사용. - 빌드 아티팩트 캐싱: Docker 레이어, 컴파일된 바이너리 재사용.
- GitHub Actions 예시:
```yaml
- name: Cache node_modules
uses: actions/cache@v3
with:
path: apps/*/node_modules
key: ${{ runner.os }}-node-${{ hashFiles('yarn.lock') }}
```
3. 라이브러리 관리 및 자동화
- 공유 라이브러리: 내부 버전 관리 (
@myorg/utils
). - 의존성 고정:
yarn.lock
또는package-lock.json
으로 의존성 드리프트 방지. - 자동 버전 업데이트: Renovate/Dependabot으로 라이브러리 최신화.
4. 데플로이먼트 최적화
- 변경된 서비스만 배포:
```bash
git diff --name-only HEAD^ | grep 'apps/' | cut -d/ -f2 | uniq
```
- 커밋 메시지 태그:
[deploy:service-name]
으로 수동 제어 가능.
5. 실무 팁 및 도구 추천
- 모노레포 최적화 도구:
- Nx/Turborepo: 프로젝트 영향 분석 및 작업 orchestration.
- Bazel: 대규모 모노레포 빌드.
- Lerna/Yarn Workspaces: 의존성 관리.
- CircleCI/GitLab CI: 내장 모노레포 최적화.
- 경고 사항:
- "Kitchen Sink" 모노레포: 관련 없는 프로젝트 혼합 금지.
- 불안정한 테스트: 파이프라인 오염 방지 위해 별도 분리.
- 과도한 엔지니어링: 3개 이하 프로젝트에는 Bazel 필요 없음.
결론
- 실무 적용 팁:
- CI 구성 모듈화: 프로젝트/서비스별로 분리.
- 파이프라인 헬스 모니터링: 빌드 시간, 캐시 히트 비율 추적.
- 문서화: 모노레포 운영 가이드를 통해 신입 개발자 온보딩 편의성 향상.
- 핵심 수치: Turborepo + GitHub Actions로 빌드 시간 20분 → 2분 단축, 클라우드 비용 절감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