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!
지금 바로 방문하기

CI/CD 파이프라인 최적화: 의존성 캐싱으로 빌드 시간 절약하기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DevOps

대상자

- 개발자/DevOps 엔지니어: CI/CD 파이프라인의 느린 빌드 시간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중급 이상의 개발자

- 난이도: 중급 (CI/CD 도구와 캐싱 전략에 대한 기본 지식 필요)

핵심 요약

  • 의존성 캐싱 적용: node_modules/.venv/.m2 등 의존성 디렉터리 캐싱으로 빌드 시간 70% 감소 가능
  • 스테이지 분리 전략: dependencies/build/test 스테이지 분리 후 중복 빌드 제거
  • 캐시 키 최적화: hashFiles('package-lock.json') 사용으로 의존성 변경 시 자동 캐시 무효화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CI/CD 파이프라인의 주요 병목 현상

  • 의존성 설치 시간: 대부분의 빌드 시간이 npm install/pip install 등 의존성 설치에 소모
  • 중복 작업: 작은 코드 수정 시 전체 프로젝트 재빌드로 15분 대 10초의 시간 낭비
  • 캐시 미사용: 매번 node_modules/.venv 재설치로 컴퓨터 자원 낭비

2. 의존성 캐싱 구현 방법

  • Node.js 예시:

```yaml

- name: Cache node_modules

uses: actions/cache@v3

with:

path: node_modules

key: ${{ runner.os }}-node-${{ hashFiles('package-lock.json') }}

```

  • 다른 언어 지원:

- Python: ~/.cache/pip or .venv

- Java: ~/.m2 or .gradle/caches

- Ruby: vendor/bundle

3. 파이프라인 스테이지 분리 전략

  • 스테이지 구조:

```yaml

stages:

- dependencies

- build

- test

```

  • 캐시 공유:

- dependencies 스테이지에서 node_modules 설치 후 build/test 스테이지에서 캐시 재사용

- policy: push (업로드) / policy: pull (다운로드) 설정

4. 고급 캐싱 패턴

  • Fallback Cache: 정확한 키 없을 시 restore-keys기본 캐시 복구
  • 병렬 작업 캐싱:

```yaml

jobs:

test:

strategy:

matrix:

os: [ubuntu-latest, macos-latest]

cache:

key: ${{ matrix.os }}-node-${{ hashFiles('package-lock.json') }}

```

  • 모노레포 캐싱: frontend-${{ hashFiles('apps/frontend/package-lock.json') }}서브프로젝트 범위 제한

5. 주의사항 및 최적화 팁

  • 과도한 캐싱: build/ 디렉터리(이진 파일) 등 대용량 데이터는 캐싱 금지
  • 캐시 무효화: hashFiles로 의존성 변경 시 자동 캐시 무효화
  • GitLab 정책: pull-push vs pull 설정 오류로 성능 저하 가능성

결론

  • 핵심 팁: hashFiles로 캐시 무효화, node_modules 캐싱으로 70% 빌드 시간 절약
  • 실무 적용: npm install/pip install 의존성 설치 작업에 캐싱 적용, 스테이지 분리 후 CI/CD 비용 40% 감소 가능
  • 도구 추천: GitHub Actions actions/cache@v3 사용, CI_COMMIT_REF_SLUG 키로 다중 환경 지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