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ircuit Breaker in Microservices: Java Implementation Guide
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!
지금 바로 방문하기

회로 차단기: 부드럽게 실패하기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DevOps

대상자

- 대상: Java 개발자,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를 사용하는 엔지니어, DevOps 프랙티션

- 난이도: 초보자부터 고급 개발자까지 적용 가능한 실무 중심 설명

핵심 요약

  • 회로 차단기(Circuit Breaker)는 마이크로서비스에서 연쇄 실패를 방지하고, 부드럽게 복구하는 디자인 패턴이다.
  • 3가지 상태(Closed, Open, Half-Open)와 대체 응답(Fallback)을 통해 시스템 안정성을 확보.
  • Resilience4j 라이브러리로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에 구현 예시 제공: @CircuitBreaker 어노테이션, application.yml 설정.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회로 차단기 개요

  • 정의: 외부 서비스 호출을 감싸, 반복 실패 시 요청 차단 및 대체 응답 제공.
  • 핵심 구성 요소:

- Closed 상태: 요청 허용.

- Open 상태: 요청 차단, Fallback 응답 반환.

- Half-Open 상태: 제한된 요청 허용, 복구 테스트.

- Thresholds: 실패 기준 (예: 10초 내 5회 실패).

- Fallback: 예: 캐시된 데이터 제공.

2. 압력솥 비유

  • 비유: 연쇄 실패를 방지하는 안전 밸브 역할.
  • 효과: 시스템 정지(폭발) 방지, 사용자 경험 유지, 리소스 낭비 줄이기.

3. 구현 예시: Resilience4j with Spring Boot

  • 의존성 설정: pom.xml에 Resilience4j 라이브러리 추가.
  • 설정 파일: application.yml에서 slidingWindowSize, failureRateThreshold, waitDurationInOpenState 등 파라미터 정의.
  • 코드 예시:

```java

@CircuitBreaker(name = "paymentService", fallbackMethod = "fallback")

public String processPayment() {

return restTemplate.getForObject("http://external-payment-service", String.class);

}

```

  • Fallback 메서드: "Payment service unavailable, please try again later." 메시지 반환.

4. 회로 차단기 vs. 재시도 vs. 타임아웃

| 접근 방식 | 목적 | 장점 | 단점 |

|----------------|--------------------------|---------------------------|---------------------------|

| 회로 차단기 | 연쇄 실패 방지 | 부드러운 복구, 안정성 확보 | 설정 복잡성 |

| 재시도 | 일시적 실패 복구 | 간단, 일시적 문제 대응 | 실패 증폭 가능성 |

| 타임아웃 | 느린 서비스 대응 | 응답 시간 제한 | 복구 메커니즘 없음 |

5. 실무 사례: 금융 서비스 회사

  • 문제: 다운스트림 서비스 장애로 인한 결제 지연.
  • 솔루션: Resilience4j 적용 (50% 실패율 기준, 30초 Open 상태).
  • 결과: 99.9% 가용성 유지, 50만 건의 트랜잭션 처리.

결론

  • 실무 팁: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에 Resilience4j를 사용하여 회로 차단기 구현.
  • 강조 사항: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 연쇄 실패 방지사용자 경험 유지를 위해 회로 차단기 필수.
  • 예제: @CircuitBreaker 어노테이션과 application.yml 설정으로 간단한 구현 가능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