클라이언트-서버 아키텍처 이해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웹 개발
대상자
- 웹 개발 초보자 및 기초 개념 이해가 필요한 프론트엔드/백엔드 개발자
- 난이도: 기초 수준 (아키텍처 개념 설명 중심)
핵심 요약
- 클라이언트는 요청을 보내고, 서버는 요청을 처리하여 데이터를 반환하는 구조
- 모듈성과 확장성을 통해 클라이언트/서버를 독립적으로 개발/업데이트 가능
- 상태 무관성(Statelessness)과 캐싱, 에러 처리(예: 404, 500)는 서버 설계의 핵심 원칙
섹션별 세부 요약
- 클라이언트와 서버 정의
- 클라이언트: 웹 브라우저, 모바일 앱, IoT 장치 등 요청을 보내는 단말
- 서버: 요청을 처리하고 데이터를 반환하는 시스템 (데이터베이스 조회, 비즈니스 로직 실행 등)
- 요청-응답 프로세스
- 클라이언트:
https://example.com
입력 → 서버에 프로필 데이터 요청 - 서버: 로그인 상태 확인 →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 조회 → JSON 형식으로 응답
- 클라이언트: 데이터를 웹 페이지/앱 UI에 렌더링
- 핵심 특징
- 모듈성: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독립적으로 개발 가능 (예: 웹사이트와 모바일 앱이 동일 서버 사용)
- 확장성: 서버를 통해 수천 개의 클라이언트 요청 처리 가능
- 유지보수성: 프론트엔드/백엔드 팀이 병행 개발 가능
- 추가 고려사항
- 상태 무관성: 각 요청은 독립적으로 처리됨 (서버가 이전 요청 기억 X)
- 캐싱: 인기 있는 웹페이지 데이터를 저장해 성능 향상
- 에러 처리:
404 Not Found
,500 Internal Server Error
등 명확한 응답 코드 제공
결론
- 실무에서 클라이언트-서버 아키텍처를 이해하면 확장성과 유지보수성이 향상됨
- 레스토랑 비유를 통해 클라이언트(고객)와 서버(주방)의 역할을 쉽게 이해 가능
- HTTP 상태 코드(예: 404, 500)와 JSON 응답은 서버 설계 시 필수 요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