클라우드 스토리지 버킷 가이드: 파일 저장 방법 비교
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!
지금 바로 방문하기

클라우드 스토리지 버킷의 세계: 파일을 저장하는 방식을 알아보자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개발 툴

대상자

  • 웹/앱 개발자중소기업 개발자
  • 중간 수준으로, 클라우드 스토리지 구현 및 비교에 관심 있는 개발자 대상

핵심 요약

  • 스토리지 버킷클라우드에서 파일을 저장 및 제공하는 컨테이너이며, public/private 접근 제어, 스케일링이 핵심 기능
  • Supabase StoragePostgreSQL과 통합되어 있으며, JWT 기반 인증을 통한 보안이 강조
  • AWS S3대규모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며, IAM 정책을 통해 세부 권한 관리 가능

섹션별 세부 요약

  1. 스토리지 버킷의 개념
  • Object: 파일 또는 메타데이터로 구성된 단위
  • Access Control: 공개(공유 링크), 비공개(인증 필요)로 구분
  • Scalability: 수백MB에서 페타바이트까지 확장 가능
  1. 실제 사례
  • 소셜 미디어 플랫폼: 공개 버킷으로 빠른 접근 가능
  • 문서 관리 시스템: Google Docs는 Google Cloud Storage 사용
  • 클라우드 스토리지 비교: Supabase, Firebase, AWS S3의 특징 요약
  1. Supabase Storage 구현
  • 계정 생성 → 프로젝트 생성 → 버킷 생성 순서 진행
  • JWT 기반 인증을 통한 파일 업로드/다운로드 정책 설정
  • JavaScript 코드 예시: @supabase/supabase-js 라이브러리 사용
  1. 보안 및 접근 제어
  • Public Access: 링크로 누구나 접근 가능
  • Private Access: auth.uid() IS NOT NULL 조건을 통한 인증 강제
  • Row-level Policy로 세부 파일 접근 제어 가능
  1. 선택 가이드
  • Startups: Supabase Storage (자유로운 무료 사용)
  • 모바일 앱: Firebase Storage (1GB 무료)
  • 대규모 시스템: AWS S3 (IAM 정책 활용)

결론

  • 스토리지 버킷은 현대 애플리케이션의 핵심 구성 요소로, 확장성, 보안, 간편한 구현이 필요
  • Supabase StoragePostgreSQL과의 통합, JWT 기반 보안,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중소기업에 적합
  • 정책 정의(CREATE POLICY)와 인증 메커니즘(OAuth, JWT)을 통해 보안 강화 필요
  • AWS S3대규모 기업에 적합하며, IAM 정책으로 세부 권한 관리 가능
  • 프로젝트 성격에 따라 적절한 스토리지 솔루션 선택이 중요하며, 보안 및 확장성을 고려한 구현이 실무 적용 핵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