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loudflare 서비스 전반적 장애 발생
카테고리
인프라/DevOps/보안
서브카테고리
인프라 구성 요소와 상호작용, 배포 프로세스와 자동화 패턴, 확장성, 안정성, 보안 관련 고려사항
대상자
- 운영 인프라 관리자, DevOps 엔지니어, IT 지원 담당자
- 난이도: 중간(기술적 이해 필요)
핵심 요약
- Cloudflare 서비스 장애는 대규모 인프라 문제로 인해 발생했으며, Workers KV, 인증 대화창, 대시보드 등 주요 기능에 영향을 미쳤음.
- 사용자 알림 시스템은 이메일 및 SMS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되었으나, 유럽 지역 사용자는 장애 지속 시간이 길었음.
- 장애 원인으로는 BGP 설정 오류, 제3자 서비스 장애가 제기되었으며, Cloudflare 상태 페이지를 통해 공식 확인됨.
각 절의 상세 요약
1. **사용자 알림 시스템**
- 이메일 및 SMS를 통해 실시간 알림 제공
- 국가별 SMS 지원 (예: 아프가니스탄, 알바니아 등)
- OTP 인증 필요 (단, 이메일만으로도 등록 가능)
2. **장애 영향 범위**
- Workers KV 서비스 장애 → 워커 기반 앱 비정상 동작
- 인증 대화창 기능 장애 (Akamai와의 차이 지적)
- 대시보드는 접근 가능하지만 속도 저하 및 오류율 급증 (UTC 18시)
3. **장애 원인 분석**
- BGP 설정 오류 가능성 제기 (Downdetector 분석)
- 제3자 서비스 장애 (예: Google GCP, Anthropic 등)
- Cloudflare 상태 페이지 통해 대규모 장애 공식 확인
4. **장애 복구 및 대응**
- Workers 앱 정상 복구 (미국 지역 우선)
- 유럽 지역 사용자는 장애 지속 시간이 길었으나, 최종적으로 복구됨
- Cloudflare 블로그 공식 포스트 예측 (DDoS 관련)
결론
- Cloudflare의 인프라 문제는 BGP 설정 오류 및 제3자 서비스 의존성으로 인해 발생했으며, 사용자 알림 시스템은 이메일 및 SMS를 통해 실시간 제공됨.
- 장애 복구는 시간 차이가 있었으나, 최종적으로 대부분의 서비스가 회복됨.
- 인프라 서비스의 집중화로 인한 시스템 취약성 문제가 지적되며, DevOps 및 인프라 관리자에게 경고로 작용함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