구름톤 유니브 4기 MVP 기획/PM 스터디 후기
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!
지금 바로 방문하기

[구름톤 유니브 4기] 기획/PM 9주차 스터디 후기

카테고리

기획

서브카테고리

기획 전략

대상자

PM(프로젝트 매니저) 및 서비스 기획자, MVP 개념 적용을 위한 중급 기획자

핵심 요약

  • MVP(Minimum Viable Product)시장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최소 기능만 갖춘 제품으로, UI/UX, 영상, 설문 등 개발 없이도 검증 가능
  • 핵심 기능 선정 기준사용자 설문 기반의 반복적 문제점 해결 중심, 부가 기능은 명확히 배제
  • 기술스택 결정 요인팀 구성(경험 부족자 포함)과 MVP 범위 설정을 고려한 전략적 선택

섹션별 세부 요약

###1. MVP 정의 및 목적

  • MVP는 시장 출시 전 사용자 피드백을 빠르게 수집하여 제품 방향성 검증
  • 필수 요건: 사용자 니즈 해결, 문제점 검증, 제품의 타당성 확인

###2. MVP 사례 분석

  • Airbnb: 창업자 거실을 웹사이트에 올려 초기 반응 확인
  • Dropbox: 시연 영상으로 초기 피드백 확보
  • 배달의민족: UI만 개발, 배달은 전화로 수행

###3. 노이즈가드 MVP 핵심 기능 선정

  • AI 데시벨 측정 및 시각화 (✅ 포함): 니즈 해결 핵심
  • 기준 비교 시각화 (✅ 포함): 피해 여부 인지 필수
  • 관리사무소 연락처 연결 (✅ 포함): 실용 기능으로 대응 유도
  • 녹음 저장 및 재생 (✅ 포함): 증거 기록 확보

###4. MVP 범위 설정 과정

  • 설문 데이터 기반으로 반복적 언급된 문제점 중심 기능 우선순위 설정
  • 부가 기능 배제: MVP 범위를 명확히 구분
  • 기술스택 결정: Flutter + Firebase 선택, 팀 경험 고려

###5. 피드백 및 개선 방향

  • 긍정적 피드백: 페르소나 설정 명확성, 설문 기반 설득력, 필수/부가 기능 구분
  • 개선 방향: 팀 구성 고려한 기술스택 전략적 선택

결론

  • MVP 기능 선정 시 사용자 설문 데이터를 기반으로 반복적 문제점 해결 기능 우선순위 설정
  • 기술스택 결정 시 팀 구성(경험)과 MVP 범위 설정을 고려한 전략적 접근이 중요
  • 부가 기능은 명확히 배제하고, 필수 기능에 집중하여 MVP의 시장성과 타당성을 검증해야 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