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통적인 CMS에서 헤드리스, 서버리스로의 진화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웹 개발
대상자
- 개발자, 마케터, 창업자
- 난이도: 중급~고급 (CMS 아키텍처와 기술 트렌드 이해 필요)
핵심 요약
- CMS의 역사: 전통적인 CMS → 헤드리스 CMS → 서버리스 아키텍처로의 진화
- 기술 스택 변화:
LAMP
,Joomla
,WordPress
→GraphQL
,REST API
,Serverless Functions
- 시장 트렌드: 헤드리스 CMS 시장 성장, 서버리스 기반 콘텐츠 전달의 효율성 증대
섹션별 세부 요약
1. CMS의 역사 및 기술
- 전통적인 CMS는
LAMP
스택 기반으로 웹사이트 생성에 초점 - 헤드리스 CMS는
GraphQL
과REST API
를 통해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분리 - 서버리스 아키텍처는
AWS Lambda
,Azure Functions
등 클라우드 기반의 비용 효율성 강조
2. 각 시대의 인기 기술 스택
- 전통 CMS:
WordPress
,Joomla
,Drupal
- 헤드리스 CMS:
Contentful
,Prismic
,Strapi
- 서버리스:
Serverless Framework
,Netlify Functions
,Vercel
3. 시장 트렌드 및 미래 예측
- 헤드리스 CMS 시장은 2025년까지 $10B 규모 예상
- 서버리스 기술은 2030년까지 80% 이상의 기업에서 채택 예측
- AI 기반 콘텐츠 생성과 서버리스의 결합이 주요 트렌드
결론
- CMS 진화 이해: 기술 스택의 변화와 시장 트렌드를 바탕으로 향후 콘텐츠 전달 전략 수립이 필수적
- 실무 적용 팁: 서버리스 아키텍처 도입 시
AWS Lambda
와API Gateway
활용, 헤드리스 CMS 선택 시GraphQL
지원 여부 확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