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드베이스 정리와 Knip 도입의 중요성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DevOps
대상자
- 대상자: 코드베이스 유지보수 및 CI/CD 파이프라인 관리에 관심 있는 개발자/DevOps 엔지니어
- 난이도: 중간 (코드 정리 도구 사용 경험이 있는 개발자 대상)
핵심 요약
- Knip은 사용되지 않는 파일, 의존성, 클래스 멤버 등을 자동으로 탐지하는 종합적 코드 위생 도구
- 사용되지 않는 코드 제거로 빌드 시간 단축, 코드베이스 유지보수성 향상, 버그 감소
- CI/CD 파이프라인에 Knip 통합으로 코드 퇴화 방지 및 실시간 피드백 제공
섹션별 세부 요약
1. 초기 정리: 사용되지 않는 파일 제거
- unimported 도구로 불필요한 파일 분석
- WebStorm의 사용되지 않는 코드 하이라이팅 활용
- Cursor로 이전 IDE 이전 시 코드 정리 도구 사라짐 문제 발생
2. 정적 분석 도입
- eslint 규칙(
@typescript-eslint/no-unused-vars
,no-unreachable
)으로 사전 예방적 코드 정리 - 정적 분석이 사용되지 않는 코드 탐지의 첫 번째 방어선
3. Knip 도입 및 기능
- ts-prune 대신 Knip 선택: 플러그인 기반 아키텍처로 프레임워크, 빌드 도구 지원
- Knip의 주요 기능:
- 사용되지 않는 파일/의존성 탐지
- 모노레포 및 워크스페이스 지원
- 중복된 익스포트, 클래스 멤버 탐지
- 예시 구성 파일:
```json
{"$schema":"...", "entry":["./src/index.ts"], ...}
```
4. Knip의 효과 및 도입 후기
- 3,500줄 이상의 사용되지 않는 코드 제거
- CI/CD 파이프라인에 Knip 통합으로 코드 퇴화 방지
- TL;DR 핵심 이점:
- 사용되지 않는 코드 제거 → 빌드 시간 단축, 온보딩 어려움 감소
- 의존성 누락/중복 → 코드 안정성 향상
- 코드 정리 → 버그 감소 및 개발자 만족도 향상
결론
- Knip은 코드베이스 정리의 자동화 도구로, CI/CD 파이프라인에 통합하여 코드 퇴화 방지
- 사용되지 않는 코드 제거로 빌드 시간, 유지보수 시간 줄이기
- "코드 정리"는 지속적인 프로세스로 Knip을 도입하여 장기적 코드 품질 관리 가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