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딩 AI 사용량 75% 급증...'챗GPT'는 분야별 전문 AI 사용자 흡수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바이브코딩, 인공지능
대상자
소프트웨어 개발자, AI 도구 사용자, 기술 트렌드 관찰자
핵심 요약
- 코딩 AI(DevOps & Code Completion) 사용량은 75% 급증하며 전체 AI 도구 중 1위를 차지
- 챗GPT의 이미지 생성 기능 추가 이후 50% 성장 기록, 범용 챗봇 점유율 90% 달성
- 전문 AI(에듀테크, 법률, 글쓰기 등) 사용량 감소, 챗GPT 등 범용 도구로 사용자 이탈
섹션별 세부 요약
1. 생성 AI 도구 전반 성장
- 3월부터 20%대 성장 기록, 챗GPT의 이미지 기능 추가로 50% 급증
- 범용 챗봇 점유율 90% 달성, 코딩 AI는 75% 증가로 1위
- 오픈AI, 코덱스(CodeX) 출시 및 GPT-4.1 통합
2. 코딩 AI 분야 주요 트렌드
- 러버블(Lovable) 전년 대비 207% 성장, 커서(Cursor) 62% 상승
- 구글 제미나이(Gemini) 51% 성장 기록, 앤트로픽(Anthropic) 성적 경신
- 딥시크, 그록 등 기존 AI 사용량 감소: 딥시크 41% 감소, 그록 5200% 감소
3. 전문 AI 분야 감소 현상
- 에듀테크(24% 감소), 법률 AI(73% 감소), 글쓰기 AI(재스퍼, 워드튠 등 사용량 감소)
- 미드저니(MidJourney) 등 이미지 생성 AI, 챗GPT 이미지 기능으로 사용자 이탈
- 시밀러웹 분석: 챗GPT 중심의 범용 도구가 검색, 교육, 소셜 미디어 등 분야에 영향
결론
- 코딩 AI는 개발자 환경 통합이 핵심, 독립형 플랫폼보다 도구 성장에 한계
- 챗GPT의 API, 자동화 기능 확장으로 시장 주도권 확보, 전문 AI는 사용자 흡수 위험
- GPT-4.1 통합, 코덱스 출시 등 오픈AI의 코딩 AI 강화 전략 주목
- 개발자는 코딩 AI 도구와 범용 챗봇의 협업 가능성을 고려해야 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