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!
지금 바로 방문하기

새로운 프로덕트 매니저에게 | 코인베이스 CEO

카테고리

기획

서브카테고리

프로덕트 매니지먼트

대상자

  • *신입 프로덕트 매니저, 기획자, 초기 프로젝트 리더**
  • 난이도: 중급 (실무 경험과 전략적 사고에 초점)*

핵심 요약

  • 프로덕트 매니저는 사용자 조사와 시계열 데이터(time series data)를 기반으로 제품 개선을 이끌어야 한다.
  • 로드맵 설정과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협의를 통해 합의를 도출하는 것이 핵심 역할이다.
  • 내부/외부 커뮤니케이션의 중심 역할을 하며, 제품 비전을 통해 감동적인 사용자 경험을 창출해야 한다.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프로덕트 매니저의 핵심 역할

  • 고객 이해: 주간 사용자 조사와 1:1 인터뷰를 통해 사용자의 고민과 불편함을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.
  •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: 시계열 데이터를 활용해 제품 변경사항의 영향을 분석하고, 핵심 지표(KPI)를 정의해야 한다.
  • 로드맵 우선순위 결정: 이해관계자와의 협업을 통해 로드맵을 설정하고, 의견 충돌 시 최종 결정을 내려야 한다.

2. 커뮤니케이션 및 비전 설정

  • 내부 커뮤니케이션: 로드맵과 우선순위를 팀원과 공유해 모두가 동일한 방향으로 일하도록 유도해야 한다.
  • 외부 커뮤니케이션: 제품 개선 사항을 사용자에게 적극적으로 전달해 제품의 진화를 알리고 신뢰를 구축해야 한다.
  • 제품 비전: 단순한 불편 해소를 넘어 사용자 감동을 목표로 하며, 시장에서 차별화된 제품을 만들어야 한다.

3. PM과 EM의 역할 차이

  • 프로덕트 매니저(PM):

- 로드맵 설정,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, 사용자 조사 수행

- 내부/외부 커뮤니케이션 허브 역할

  • 엔지니어링 매니저(EM):

- 기술 멘토 역할, 코드 리뷰, 팀원 커리어 지원

- 엔지니어의 직접 상사 역할

4. 실무 도전과 해결 방향

  • 초기 도전: 로드맵 설정, 이해관계자 협의,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의 어려움
  • 해결 전략:

- 경험 많은 PM과의 대화로 역량을 학습

- 시계열 데이터KPI 설정을 통해 판단의 정확성 확보

- 제품 비전을 명확히 하여 팀과 사용자 모두의 공감 유도

결론

  • 실무 적용 팁: 경험 많은 PM과의 대화, 시계열 데이터 활용, 로드맵 우선순위 설정, 제품 비전 정의를 통해 성공적인 프로덕트 매니지먼트를 달성하라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