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픈소스 협업 분석 플랫폼 collab.dev 개발 과정 및 핵심 개념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DevOps
대상자
- 개발자, 오픈소스 프로젝트 유지자, 협업 도구 개발자
- 중급~고급 수준 (기술 스택, 오픈소스 협업 메트릭 분석 지식 필요)
핵심 요약
- DORA 메트릭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협업 흐름 분석 중심의 새로운 메트릭 개발
- Pulse → Streamlit → Flask 기술 스택 전환 과정에서 데이터 시각화 중심의 UI 설계
- GitHub API + Flask + PostgreSQL 기반의 오픈소스 협업 분석 엔진 구현
섹션별 세부 요약
1. 기존 협업 메트릭의 한계
- DORA 메트릭은 배포 속도에 초점, 실제 협업 효율성 측정 불가
- 개발자들의 실제 협업 문제점 (스릴리 PR, 병목 현상)은 측정 불가능
- Wait time, Review flow, Contributor patterns 등 새로운 메트릭 필요성 제시
2. 초기 프로토타입 개발
- Hackathon 기간에 Pulse 도구 개발 (내부 PullFlow 데이터 기반)
- Next.js 기반 Report Card 시스템 구축 → 학점 기반 평가 방식 제시
- Lake Tahoe 팀 회의에서 학점 기반 평가의 문제점 (프로젝트 특성 무시) 지적
3. 데이터 시각화 중심 전환
- Preset 도구를 활용한 PR 펀넬, 시간 분포, 기여자 활동 분석
- Flask로 재구성하여 검색, 캐싱, GitHub 로그인 기능 추가
- Maintainer Dashboard 개발: 실시간 협업 패턴 분석, 실험적 메트릭 제공
4. 오픈소스 전환 및 기술 스택
- GitHub API + Flask + PostgreSQL + Redis 기반 백엔드 구축
- Tailwind CSS + Chart.js 기반 프론트엔드 설계
- Docker + AWS Lightsail 기반 배포
- PDM + GitHub Actions CI/CD 자동화
5. 현재 상태 및 미래 로드맵
- 250개 이상의 미리 분석된 레포지토리 제공
- Python, Go, Rust 지원, 역사적 트렌드 분석, AI 요약 기능 개발 예정
- 주간 프로젝트 분석 뉴스레터 운영
결론
- GitHub API + Flask 기반 분석 엔진을 통해 오픈소스 협업 흐름을 시각화
- 학점 기반 평가 → 데이터 기반 시각화 전환으로 프로젝트 특성 존중
- collab.dev를 통해 협업 메트릭의 실무 적용 가능, 100+ 레포지토리 추가 분석 가능
- AI 기반 요약, 개인 레포지토리 분석, 다중 레포지토리 비교 등 확장 기능 개발 예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