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QRS를 활용한 Rails 애플리케이션의 읽기/쓰기 확장 전략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웹 개발
대상자
- 대상자: Rails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거나 확장 요구가 있는 개발자
- 난이도: 중간 (Rails와 데이터베이스 개념 이해 필요)
핵심 요약
- CQRS는 읽기와 쓰기를 분리하여 확장성을 개선 (예:
ActiveRecord
모델 분리,UserCommand
/UserReadModel
구조) - 읽기 전용 데이터베이스(
production_readonly
)를 사용해 읽기 성능 향상 - 이벤트 기반 비동기 업데이트(
event_store.publish
,OrderPlacedHandler
)와 Materialized View를 활용한 복잡한 집계 처리
섹션별 세부 요약
1. 전통적인 Rails 모델의 한계
- 같은
ActiveRecord
모델이 읽기/쓰기를 처리 → 고부하 시 쓰기 지연 및 읽기 블록 발생 - 스키마 변경 시 읽기/쓰기 모두 영향
2. CQRS 구현 예시
- 명령 처리:
UserCommand.activate
로 상태 변경 및 읽기 모델 갱신 (UserReadModel.refresh
) - 읽기 처리:
FastUser
모델과 읽기 전용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빠른 읽기 성능 제공
3. 확장 전략: 이벤트 기반 비동기 처리
- 이벤트 발행 (
event_store.publish(OrderPlaced.new)
) → 이벤트 핸들러(OrderPlacedHandler
)로 비동기 업데이트 - Materialized View 사용: 복잡한 집계 (
CREATE MATERIALIZED VIEW
) 및 Infrequent Update 데이터 처리
4. CQRS 적용 시 고려사항
- 적합한 시나리오:
- 강한 일관성 필요: User.active_count
와 같은 단일 핫 쿼리
- 고 처리량 시스템: 이벤트 기반 비동기 업데이트
- 복잡한 집계: Materialized View 활용
- 적합하지 않는 경우:
- 간단한 CRUD 앱: 과도한 복잡성 유발
- 성능 문제 없음: 기존 구조 유지 권장
5. CQRS 도입 단계
- 한 가지 병목 지점 식별 (예: 느린 대시보드)
- 읽기 모델 구축 (Callback 기반 동기 업데이트)
- 이벤트/잡 작업으로 비동기 전환
- 독립 읽기 확장 (Replica, 캐싱)
결론
- CQRS 도입 시 "작은 규모부터 시작" (예: 특정 쿼리 최적화)
- "확장성 문제 > 구현 비용" 시 CQRS 채택
- Materialized View는 복잡한 집계에, 이벤트 기반 비동기는 고처리량 시스템에 적합하며, 읽기 전용 데이터베이스는 읽기 성능 향상에 효과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