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!
지금 바로 방문하기

CRUD의 함정: 간단한 업데이트가 숨은 위험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웹 개발

대상자

소프트웨어 개발자, 특히 Ruby on Rails 또는 ORM 기반의 백엔드 개발자

난이도: 중간 (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, 콜백 관리, 로깅 전략 이해 필요)

핵심 요약

  • 레이스 컨디션으로 인한 데이터 손실 예방: with_lock 또는 비관적 동시성 제어 사용
  • 변경 이력 추적 위해: AuditLog 또는 CDC(Change Data Capture) 도구(예: Debezium) 활용
  • 업데이트 시 부작용 방지: 콜백 대신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로 분리
  • 부분 업데이트update_columns 또는 assign_attributes 사용 (전체 필드 업데이트 방지)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레이스 컨디션과 데이터 손실

  • user.update!(balance: balance + 50)와 같은 read-modify-write 패턴은 다중 스레드 환경에서 데이터 손실 발생
  • 예: 스레드 A와 B가 동일한 balance 필드를 동시에 업데이트 시 최종 값이 130 (예상: 180)으로 오버라이드
  • 해결책:
  • with_lock 블록 사용 (비관적 동시성 제어)
  • version 필드를 사용한 비관적 동시성 제어 (예: update!(balance: ..., version: user.version))

2. 로깅 부족과 이력 추적

  • 대부분의 앱은 변경 이력 로깅을 하지 않거나, 로그가 기한이 있는 경우 발생
  • 예: UPDATE orders SET status = 'refunded' WHERE id = 123; 실행 시 변경 원인, 시점, 사용자 정보 누락
  • 해결책:
  • after_update 콜백으로 AuditLog 생성 (예: AuditLog.create!(action: "update", old_values: previous_changes, user: Current.user))
  • CDC 도구 (예: Debezium) 사용: 데이터베이스 변경을 Kafka로 스트리밍

3. 콜백 기반 업데이트의 부작용

  • after_update 콜백은 다중 서비스 호출로 인해 예상치 못한 부작용 발생 (예: send_welcome_email, update_search_index, notify_admin 동시 실행)
  • 해결책:
  • 명시적 워크플로우 사용 (예: UserActivator.new(user).call)
  • 이벤트 기반 분리: EventBus.publish(UserActivated.new(user_id: user.id))

4. 부분 업데이트 vs 전체 필드 업데이트

  • user.save!모든 변경된 필드를 업데이트 (예: name 변경 시 email 변경 중인 스레드와 충돌 가능성)
  • 해결책:
  • update_columns(name: "Alice") (콜백 무시, 특정 필드만 업데이트)
  • assign_attributes(name: "Alice") + save(only: [:name]) (업데이트 대상 필드 명시)

결론

  • CRUD는 "최종 쓰기 승리" 전략이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 (예: 관리자 대시보드, 프로토타입)
  • 단계적 개선 전략:
  1. 1개 모델에 감사 로깅 추가
  2. 1개 콜백을 서비스로 대체
  3.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 전환 전에 현재 시스템의 문제점 측정

> 핵심 팁: update! 대신 update_columns 또는 assign_attributes 사용, 이벤트 기반 분리로 콜백 중복 제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