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#: Generics vs Non-Generics – Performance & Type Safety
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!
지금 바로 방문하기

C#에서 제네릭과 비제네릭의 차이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웹 개발

대상자

C# 개발자, 중급 이상의 소프트웨어 개발자

난이도: 중급 (타입 안전성과 성능 최적화에 대한 이해 필요)

핵심 요약

  • 제네릭: 컴파일 시 타입 검증 가능, 런타임 오류 방지
  • 비제네릭: object 타입 사용으로 캐스팅 필요, boxing/unboxing 성능 저하
  • 제네릭: List, Dictionary재사용 가능한 코드 작성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제네릭의 장점

  • 타입 안전성: List와 같이 데이터 타입 명시 시 런타임 캐스팅 오류 방지
  • 성능 향상: 값 타입(value type)에서 boxing/unboxing 작업 생략
  • 코드 재사용성: T와 같은 일반화된 제네릭 메서드/클래스 사용 가능

2. 비제네릭의 단점

  • 타입 불안전성: List 사용 시 임의의 타입 삽입 가능
  • 런타임 오류 위험: stringint로 캐스팅 시 예외 발생 가능성
  • 성능 저하: 값 타입(value type)이 object로 boxing되어 메모리 사용 증가

3. 실무 적용 예시

  • 제네릭 사용: public void ProcessData(List data)
  • 비제네릭 사용: public void ProcessData(List
  • 성능 비교: ListList보다 30% 이상 빠른 접근 성능 (Microsoft 공식 문서 기준)

결론

  • 제네릭을 사용할 때: List, Dictionary타입 파라미터를 명시한 제네릭 컬렉션 사용
  • 비제네릭은 피할 것: object 타입 사용으로 인한 런타임 오류와 성능 저하 방지
  • 핵심 팁: 제네릭은 타입 안전성과 성능 최적화를 위해 모든 컬렉션 및 메서드에 적용해야 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