현재 인증 트렌드: 접근 제어의 간소화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보안
대상자
- *개발자 및 보안 전문가**
- 난이도: 중간 (기존 접근 제어 모델의 한계와 현대적 솔루션 비교에 초점)
핵심 요약
- Zero-Trust Authorization은 네트워크 내외부에 관계없이 모든 요청에 대한 엄격한 인증을 요구합니다.
- Policy-as-Code는 정책을 코드로 관리해 버전 관리, 자동화 테스트, CI/CD 통합을 가능하게 합니다 (예:
Open Policy Agent
의Rego
언어). - Context-Aware Authorization은 사용자 위치, 장치, 시간 등 실시간 컨텍스트를 기반으로 접근 제어를 동적으로 조정합니다.
섹션별 세부 요약
1. 전통적인 접근 제어 모델의 한계
- RBAC/DAC는 미세한 접근 제어와 동적 환경에 적응하지 못합니다.
-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 하드코딩된 역할 관리로 인해 불일치와 오류 발생.
- 정적 정책은 실시간 요구사항(예: 장치 위치, 시간)에 대응하지 못해 보안 취약점 유발.
2. Policy-as-Code: 정책 관리 자동화
- 버전 관리:
Git
등 소스 제어 시스템에 정책 저장. - 자동화 테스트: 정책의 예상 동작을 단위 테스트로 검증.
- CI/CD 통합: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와 함께 정책 변경 자동 검증 및 배포.
- 예시:
Open Policy Agent (OPA)
의Rego
언어로 정책 정의 (예:input.user.role == "admin"
).
3. Context-Aware Authorization: 동적 컨텍스트 기반 접근 제어
- 컨텍스트 속성: 사용자 역할, IP 주소, 시간, 장치 타입 등 실시간 데이터를 활용.
- 예시 정책:
```rego
allow {
input.user.role == "admin" && input.device.trusted == true
}
```
- 사용 사례:
- 기업 네트워크 외부 접근 시 권한 제한.
- 미지의 장치에서 로그인 시 추가 인증 요구.
- 업무 시간 외 접근 제한.
4. Zero-Trust Authorization: 모든 요청에 대한 엄격한 인증
- 명시적 인증: ID, 위치, 장치 상태 등 모든 데이터 포인트를 기반으로 인증.
- 최소 권한 원칙: 작업 수행에 필요한 최소한의 권한만 부여.
- 침해 가정: 시스템 설계 시 내부/외부를 구분하지 않고 모든 요청에 대한 보안 고려.
결론
- 현대적 접근 제어를 구현하기 위해:
- Policy-as-Code
도구(예: OPA
, Oso
)를 도입해 정책을 코드화.
- Context-Aware
정책을 통해 실시간 컨텍스트를 반영.
- Zero-Trust
원칙을 적용해 네트워크 내외부에 관계없이 모든 요청에 대한 엄격한 인증 수행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