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료구조랑 알고리즘, 아직도 '코테용'이라고 생각해?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웹 개발
대상자
- 소프트웨어 개발자, 중급 이상의 프론트엔드/백엔드 개발자
- 코딩 테스트 중심의 학습에서 실무 적용 중심의 이해를 필요로 하는 개발자
- 난이도: 중간 – 기본 개념 이해는 필요, 실무 사례 적용에 초점
핵심 요약
-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은 코딩 테스트용이 아니라 실무에서 자주 사용되는 핵심 기술
- React, Redux, Firebase, CMS 등에서 배열, 큐, 트리, 그래프 구조가 직접적으로 적용
- 알고리즘 감각을 키우면 복잡한 로직을 단순화하고 성능 최적화 가능
섹션별 세부 요약
1. 실무에서 자료구조의 은유적 사용
- React의
map()
은 배열(Array)의 반복 구조를 활용 - Zustand/Redux의 상태 관리 내부적으로 해시 맵(Map) 사용
- 트리 구조는 댓글 중첩, JSON 데이터 렌더링에 자연스럽게 적용
2. 알고리즘 감각이 요구되는 실무 사례
- 정렬 알고리즘 없이
sort()
의 성능 문제가 이해되지 않음 - DFS/BFS 이해 없이 트리 탐색 로직이 복잡해짐
- LRU 캐싱 로직은 알고리즘 감각 없이 구현하기 어렵
3. 큐/트리/그래프의 실무 적용 사례
- Firebase 알림 처리 시 큐(Queue)로 순차적 처리로 안정성 향상
- 트리 구조로 사용자 권한 설정 편집 시 DFS 순회 알고리즘 활용
- 휴일 구간 계산 시 슬라이딩 윈도우 알고리즘으로 효율성 확보
4. 핵심 데이터 구조 및 알고리즘 목록
- Array/List, Stack/Queue, HashMap/Set, Tree, Graph, Trie, 정렬(Quick, Merge 등), 탐색(Binary Search, DFS, BFS), 슬라이딩 윈도우, 그리디, LRU 캐싱 알고리즘
결론
- 실무에서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을 '감'으로 인식하고 적용하는 것이 개발 감각의 핵심
- 주변 코드를 분석해 데이터 구조와 알고리즘의 적용을 직접적으로 경험해야 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