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AY 13-DEPLOYING: GitLab을 이용한 정적 웹사이트 배포 가이드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DevOps
대상자
- 웹 개발자 및 DevOps 엔지니어
- 초보자 수준: GitLab 기초 사용법 학습
- 중급자 수준: CI/CD 파이프라인 구성 이해
핵심 요약
- GitLab CI/CD 파이프라인 구성을 통해 정적 웹사이트 배포 가능
- index.html 파일은 루트 파일로 반드시 포함되어야 함
- gitlab-ci.yml 파일에 public 폴더 생성 및 파일 복사 명령 포함 필수
섹션별 세부 요약
1. GitLab 계정 생성 및 프로젝트 생성
- GitLab 계정 생성 후 Projects > New Project에서 빈 프로젝트 생성
- Namespace 선택 및 Visibility Level → Public 설정
- README 파일과 함께 저장소 초기화
2. 정적 파일 업로드
- index.html 파일은 루트 파일로 필수 포함
- HTML, CSS, 이미지 파일을 프로젝트 저장소에 업로드
- index.html 파일이 없으면 배포 실패
3. gitlab-ci.yml 파일 생성
- gitlab-ci.yml 파일 생성 후 다음 코드 삽입:
pages:
stage: deploy
script:
- mkdir public
- cp index.html public/
artifacts:
paths:
- public
only:
- main
- cp -r Folder(public) public/
4. 배포 상태 확인
- Deploy > Pages 메뉴에서 배포 상태 확인
- URL이 Pages 탭에 자동 생성됨
결론
- gitlab-ci.yml 파일의 public 폴더 생성 및 파일 복사 명령이 배포 핵심
- index.html 파일은 루트 파일로 반드시 포함해야 하며, public 폴더에 포함되어야 함
- 배포 완료 후 Pages 탭에서 생성된 URL을 통해 사이트 확인 가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