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eadLock - JSON 파싱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개발 툴
대상자
C++ 개발자, JSON 데이터 처리 및 패키지 관리 시스템 구축에 관심 있는 개발자
난이도: 중급 (JSON 파싱 및 버전 관리 기술 필요)
핵심 요약
- Niels Lohmann의 JSON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C++에서 JSON 데이터를 파싱하고 추출하는 방법을 설명
- 버전 문자열(예:
"1.4.0rc0"
) 처리 시 전통적인 비교 방식 대신 정규 표현식 또는 문자열 분석이 필요 - OS별 패키지 다운로드 URL 추출 및 사용자 OS에 맞는 wheels 패키지 선택이 필수적
섹션별 세부 요약
1. JSON 파싱 도구 소개 및 초기 경험
- Niels Lohmann의 JSON 라이브러리 사용으로 C++에서 JSON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파싱 가능
- Pypi API 호출 시 pandas 등 라이브러리의 버전 정보 및 다운로드 URL이 포함된 JSON 응답 수신
- 43,000줄의 JSON 응답(37MB 규모) 처리로 메모리 관리 및 데이터 처리 효율성 중요
2. 버전 문자열 처리 문제점
"1.4.0rc0"
등 시연 버전(rc, beta 등) 포함된 버전 문자열이 전통적인 숫자 비교로는 오류 발생- pandas뿐만 아니라 다른 라이브러리도 동일한 버전 명명 방식 사용
- 정규 표현식 또는 문자열 분석 기법을 통해 최신 버전 추출 로직 구현 필요
3. OS별 패키지 다운로드 처리
- Pypi 응답에 모든 OS의 wheels 패키지 URL 포함
- 사용자 OS에 맞는 wheels 패키지 선택 및 컴파일/빌드 프로세스 필요
- 환경 변수(예:
os.name
,platform.system()
)를 활용한 OS 인식이 필수적
결론
- Niels Lohmann의 JSON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버전 문자열 분석과 OS별 패키지 선택 로직 구현이 핵심
- 정규 표현식 또는 문자열 분석 라이브러리(예:
std::regex
)를 사용해"1.4.0rc0"
형식의 버전을 파싱할 것 - 환경 변수를 기반으로 OS 인식 후
wheel
파일 다운로드 URL을 필터링하여 사용자 맞춤형 패키지 설치 가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