개취뽀: 개발자 면접 준비 및 취업 전략 세미나 요약
카테고리
기획
서브카테고리
핵심 전략과 목표 명확히 강조
대상자
- *개발자 취준생, 전공 전환자, 경력 개발자**
- 난이도: 중급 (면접 전략, 자기소개 기술, 포트폴리오 관리 등 실무 적용 중심)*
핵심 요약
- 면접에서의 차별화 전략: "회사가 기대하는 캐릭터"에 부합하는 소통 능력과 문제 해결력 강조
- 경험 나열 대신: "핵심 문제 → 해결 요소 → 해결 과정"의 구조화된 이야기 전달
- 포트폴리오 관리 전략: "화분에 골고루 물주기" (서류, 코테, 면접, 프로젝트 등 균형 잡힌 준비)
섹션별 세부 요약
1. 개취뽀 행사 개요
- 개발자 취업 정보 공유 모임에서 서울까지 이동한 경험 공유
- 6시에 일어나 7시 반 고속버스 탑승 (시험 기간 동안의 집중 공부)
- 행사 장소: JS 빌딩 (명찰, 영양 스틱 제공)
2. 면접 기술 강연 요약
- 퍼플딩코의 핵심 메시지:
- "면접은 스피드 게임이 아니다" → 질문 의도 파악 후 3~5문장의 결론 중심 답변
- "회사/팀이 무슨 일을 하는지 모르는 사람" → 지원 직무에 대한 구체적 이해 필수
- "경험 나열" 대신: 문제 해결력 중심의 이야기 전달 (예: "이 경험에서 얻은 기술" → "해결한 문제"로 전환)
- 라포의 전공 전환 전략:
- "근자감" (구체적인 사례 기반의 자신감)
- "모른다고 솔직하게 말하는 것" → 관련 경험을 연결해 설명
3. 화분에 골고루 물주기 전략
- 취업 준비의 균형 잡힌 접근:
- 서류, 코테, 면접, 프로젝트 등 모든 영역에 주간 목표 설정
- "이력서: 2곳 중 1곳은 붙는 이력서" → 전문성 강조
- 코테: 주 1~2문제 유지 → 루틴으로 핵심 역량 강화
- 포트폴리오 관리:
- Notion → Figma 변경으로 합격률 증가 (포트폴리오 형식의 중요성 강조)
- 이력서 하단에 스타트업 경험 배치 → 커리어핏 딜레마 해결
4. 커뮤니케이션 및 네트워킹
- 같은 직무/취미 그룹과의 대화:
- 백엔드 개발자 모임 → 공부 방법, 스터디 팁 공유
- 음악 취미 그룹 → 현직자들의 조언을 통한 동기부여
- 금오공대 선배 및 딩코딩코와의 인터뷰:
- PPL 광고 영상 촬영 (유튜브 공개 예정)
- "열정이 대박"이라는 칭찬 → 대학 3학년의 네트워킹 활동 강조
5. 얻은 인사이트
- 개발자의 다양성:
- 물류 백엔드, 하드웨어 GPU 할당 등 다양한 도메인의 존재
- 용기 있는 선택:
- 전공과 다른 길을 선택한 개발자들의 성공 사례
- 동기부여:
- "올해의 터닝 포인트"로 평가 (번아웃 극복, 네트워킹의 중요성 강조)
결론
- 면접 준비 시:
- "회사가 기대하는 캐릭터"에 부합하는 소통 능력과 문제 해결력 강조 (예: "이 경험에서 얻은 기술" → "해결한 문제"로 전환)
- 포트폴리오 형식은 Figma 등 시각적 툴로 관리 (Notion → Figma 전환 사례 참고)
- "화분에 골고루 물주기" 전략으로 서류, 코테, 면접, 프로젝트 균형 잡힌 준비
- 네트워킹 중요성:
- 같은 관심사 개발자와의 대화 → 실무 경험, 준비 전략 공유
- 경험 많은 현직자와의 교류 → "자신의 실력"을 믿고 용기 있는 선택의 중요성 재인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