개발자 보안 실수 방지 방법
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!
지금 바로 방문하기

개발자가 자주 하는 보안 실수와 방지 방법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보안

대상자

초보 개발자 및 중급 개발자 (실무 적용 중심, 난이도: 기초~중간)

핵심 요약

  • 비밀 정보 누설 방지: .env 파일 사용 및 dotenv 라이브러리 활용 (.gitignore 추가)
  • 사용자 입력 검증 필수: SQL 주입/ XSS 방지 위해 prepared statements 및 템플릿 엔진 사용
  • 비밀번호 안전 처리: bcrypt 또는 Argon2 해시 알고리즘 사용, salt 적용 필수
  • 접근 제어 강화: Role-Based Access Control (RBAC) 구현, 서버 측 권한 검증 필수
  • 의존성 업데이트 주기: npm audit/pip-audit 활용, 신뢰할 수 있는 패키지만 사용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비밀 정보 누설

  • 코드 내 API 키/비밀번호 직접 입력 → GitHub 등 공개 저장소에 노출 위험
  • 환경 변수 사용: .env 파일 + dotenv 라이브러리로 관리
  • .gitignore.env 파일 추가, GitHub Actions 등 보안 저장소 활용

2. 사용자 입력 검증 누락

  • SQL 주입/XSS 공격 가능성: 사용자 입력이 예상치 못한 데이터(예: JavaScript/SQL 코드) 포함 시
  • 모든 입력 검증 및 정제 필수: 이메일/숫자 형식 검증, prepared statements 사용 (SQL)
  • 템플릿 엔진 활용: HTML 자동 이스케이프 기능으로 XSS 방지

3. 약한 비밀번호 처리 방식

  • 평문 저장 금지: MD5 등 약한 해시 알고리즘 사용 시 해킹 위험 증가
  • 보안 해시 알고리즘 적용: bcrypt 또는 Argon2 사용, salt 추가 필수
  • 자체 인증 시스템 구현 금지: 신뢰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(예: passport.js) 사용

4. 접근 제어 미흡

  • 일반 사용자가 관리자 기능/다른 사용자 데이터 접근 가능 (예: 관리자 패널 유출)
  • Role-Based Access Control (RBAC) 구현: 사용자 역할에 따른 권한 체크
  • 서버 측 권한 검증 필수: 프론트엔드 기능 숨기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음

5. 의존성 업데이트 무시

  • 보안 취약점 포함된 라이브러리 사용 → 해킹 위험 증가
  • 패키지 관리 도구 활용: npm audit/pip-audit으로 취약점 확인
  • 신뢰할 수 있는 소스만 사용: 장기간 업데이트 없는 패키지 사용 금지

결론

  • 비밀 정보는 절대 코드에 직접 입력하지 말고 .env + dotenv 사용
  • 모든 사용자 입력에 대해 검증 및 정제 로직 적용 필수
  • 비밀번호는 bcrypt/Argon2으로 해시 처리, salt 적용
  • RBAC 구현 후 서버 측 권한 검증 강화
  • 의존성 패키지 업데이트 주기적으로 확인, npm audit/pip-audit 활용