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evOps — 개발자와 운영팀을 연결하는 기술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DevOps
대상자
- 초보 개발자 및 DevOps 개념 이해를 원하는 사람들
- 난이도: 중간 수준의 개념 설명 (복잡한 기술 용어 없이 비유로 설명)
핵심 요약
- DevOps는 개발(Dev)과 운영(Op)을 연결하여 프로덕션의 안정성과 확장성을 제공하는 역할
- CI/CD(CI/CD), 모니터링, 인프라 자동화가 핵심 역할
- 도구 예시:
Git
,Docker
,Kubernetes
,Terraform
등
섹션별 세부 요약
1. 인프라 및 환경 구축 (Infrastructure & Environments)
- 서버, 클라우드 서비스 등의 인프라를 설정하고 관리
- 개발/테스트 환경을 운영 환경과 동일하게 구성
- 인프라 자동화를 통해 빠른 배포 및 일관된 환경 유지
2. CI/CD 자동화 (CI/CD Automation)
- 새로운 코드 또는 기능 추가 시 자동 테스트 및 배포
- CI/CD 도구(
Jenkins
,GitHub Actions
,GitLab CI
) 사용 - 로봇 팔 비유처럼 배포 과정에서 오류 없이 변경 사항 적용
3. 모니터링 및 신뢰성 유지 (Monitoring & Reliability)
- 모니터링 도구(
Prometheus
,Grafana
)로 서버 상태, 애플리케이션 성능 추적 - 실시간 알림 시스템으로 문제 발생 시 즉시 대응
- 문제 원인 분석 및 예방 조치 시행
4. 확장성 관리 (Scalability)
- 인프라 코드화(Infrastructure as Code,
Terraform
,Ansible
)로 빠른 확장 - 클라우드 플랫폼(AWS, Azure, GCP)을 활용한 서버 추가 및 복제
- 표준화된 부품을 통해 새로운 인프라 구축 가능
결론
- DevOps는 협업, 자동화, 공유 책임을 통해 빠른 배포, 높은 신뢰성, 확장성을 달성
- 핵심 도구(
Git
,Docker
,Kubernetes
)를 활용한 CI/CD 파이프라인 구축이 필수 - 인프라 자동화와 모니터링 시스템은 프로덕션의 안정성을 극대화하는 핵심 전략