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MARC 보고서에서 발생하는 일반적 문제 및 해결 방법
분야
인프라/DevOps/보안
대상자
이메일 보안 및 인프라 관리 담당 IT 관리자, 시스템 관리자, 보안 팀.
난이도: 중급. DMARC 프로토콜 이해 및 구성 경험이 필요한 분에게 적합.
핵심 요약
- *DMARC 보고서 분석 시 주요 문제**
- SPF 실패: 전달 서버 IP가 SPF 레코드에 등록되지 않거나, 서브도메인/마케팅 플랫폼에서 SPF 정렬이 잘못됨.
- DKIM 실패: 서명 검증 실패 또는 "From" 도메인과 DKIM "d=" 태그 도메인 불일치.
- 도메인 위조 시도: 비인가된 서버가 도메인을 사용해 이메일 전송 시 발생하는 문제.
- DNS 기술 오류: SPF/DKIM/DMARC DNS 레코드의 문법 오류 또는 DNS 조회 제한 초과.
섹션별 세부 요약
1. SPF 실패 문제
- 주요 원인:
- 새로운 이메일 서비스 추가 시 SPF 레코드 갱신 누락.
- 서브도메인 및 마케팅 플랫폼(예: Mailchimp, Salesforce)에서 SPF 정렬 미비.
- SPF 레코드 DNS 조회 수가 10개 이상 초과.
- 해결 방법:
- SPF 플랫팅 도구 사용: DNS 조회 수를 10개 이하로 제한.
- 정렬 검증: "From" 필드 도메인과 SPF 검증 도메인 일치 여부 확인.
2. DKIM 실패 문제
- 주요 원인:
- DKIM 활성화 미비 또는 DNS 레코드 오류.
- 이메일 전달 중 수정(예: 전달 서버 사용 시).
- DKIM 서명 도메인과 "From" 도메인 불일치.
- 해결 방법:
- DKIM 활성화: 이메일 서비스에 DKIM 지원 확인 및 설정.
- DNS 레코드 검증: DKIM "d=" 태그 도메인과 "From" 도메인 일치 여부 확인.
3. 도메인 위조 시도 감지
- 주요 원인:
- 비인가된 서버가 도메인을 사용해 이메일 전송.
- 잊힌 제3자 도구 또는 마케팅 플랫폼이 정당한 이메일 전송.
- 해결 방법:
- 출처 확인: IP 주소 및 헤더 데이터 분석으로 정당성 판단.
- 신뢰된 발신자 허용: SPF/DKIM 설정에 신뢰 플랫폼 추가.
4. 서브도메인 구성 오류
- 주요 원인:
- 서브도메인에서 부모 도메인의 DMARC 정책을 그대로 사용.
- 서브도메인 레코드 미설정 또는 오류.
- 해결 방법:
- 서브도메인 정책 구성: DMARC, SPF, DKIM 레코드 개별 설정.
- 通配자 사용 주의: 불필요한 경우 제외하고, 무의미한 출처 허용 방지.
5. DNS 레코드 문법 오류
- 주요 원인:
- DNS 레코드의 오타 또는 기호(예: 세미콜론, 따옴표) 위치 오류.
- 문자 수 제한 또는 조회 수 초과.
- 해결 방법:
- 레코드 검증: 문법 오류를 통한 이메일 전송 실패 방지.
6. 전달 서버로 인한 SPF/DKIM 실패
- 주요 원인:
- 전달 서버 IP가 SPF 레코드에 포함되지 않음.
- 해결 방법:
- DKIM 우선: 전달 시 SPF가 파괴되기 쉬므로 강력한 DKIM 구성.
7. XML 보고서 처리 복잡성
- 주요 원인:
- 대량의 이메일 활동으로 인한 XML 보고서 증가.
- XML 형식으로 인한 수동 분석 어려움.
- 해결 방법:
- 보고서 파싱 도구 사용: Postmark, DMARCIAN 등으로 XML을 대시보드로 변환.
- 출처 분류: 문제를 일으키는 주요 서비스 식별 후 우선 해결.
결론
- *DMARC 보고서 분석 및 문제 해결 전략**
- 보고서 파싱 도구 활용: XML 데이터를 쉽게 해석할 수 있도록 도구 사용.
- 정책 점진적 강화: p=none → p=quarantine → p=reject으로 점차 엄격하게 설정.
- 정렬 검증 필수: SPF, DKIM, "From" 도메인 간 정렬 일치를 확인.
- 정기적 모니터링: 집계 보고서(rua)와 법적 보고서(ruf)를 통해 실패 사례 분석.
- 신뢰 발신자 관리: SPF/DKIM 설정에 신뢰 플랫폼 추가하여 위조 방지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