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OM 템플릿 API 도입의 시기성과 방향성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웹 개발
대상자
웹 프레임워크 개발자, DOM API 설계자, 현대 웹 개발자
핵심 요약
- 표준 DOM API에 선언적 템플릿 기능 부재로 인해 프레임워크 및 개발자 모두 불편과 성능 저하 발생
- 템플릿 식별성 + 시그널 모델 조합이 VDOM 기반보다 빠른 반응성 및 효율성 제공
- 태그드 템플릿 리터럴 기반의 JS API 제안으로 JSX->템플릿 리터럴 변환 가능, 표준화 가능성 높음
섹션별 세부 요약
1. 현황 및 문제점
- 표준 DOM API는 데이터 기반의 템플릿 생성/업데이트 기능 부재
- React, Vue 등 프레임워크는 선언적 템플릿 제공으로 XSS 보안 강화, 성능 향상, 정적 분석 지원
- 프레임워크 및 플랫폼 차원에서 템플릿 엔진 직접 구현 필요로 트레이드오프 발생
2. 선언적 템플릿의 핵심 이점
- 명령형 API 대비 가독성, 사용성 향상
- 정적 분석 및 타입체크 지원으로 개발 생산성 증대
- 서버 사이드 렌더링(SSR) 가능, UX 개선 (라이브러리 다운로드 지연 감소)
3. 기존 시도의 한계 및 새 방향
- E4X, html 템플릿 리터럴 등 실패 원인: DOM 업데이트 모델 약점
- JS 기반 API 제안: 태그드 템플릿 리터럴 활용, JSX 표준화와 연계 가능성
- HTML 기반 API는 새로운 문법 설계 필요로 복잡성 증가, JS API 우선 도입 추천
4. 기술적 구현 방향
- 템플릿 식별성(Lit) + 시그널 모델(Solid/Svelte) 조합이 빠른 반응성 제공
- DOM Parts 및 스케줄러와 연동 가능, 하위 호환성 유지 필요
- 네이티브 API 제안:
element.applyDiff()
메소드를 통해 비파괴적 갱신 가능
결론
- 태그드 템플릿 리터럴 기반의 JS API 도입이 프레임워크 및 개발자 모두에 실질적 이점 제공
- HTML 기반 API는 추후 단계적 확장 가능, 현재는 JS API 우선
- 표준화 협업 및 테스트가 필수적, Lit, Polymer 등 기존 프레임워크와 연동 가능성 높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