도메인 주도 설계의 사실과 오해 (조영호님 강의 후기)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도메인 주도 설계
대상자
- 소프트웨어 개발자, 시스템 아키텍트, 복잡한 도메인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젝트 담당자
- 중간~고급 수준의 개발자 (객체지향 설계, 애자일 방법론 기초 지식 필요)
핵심 요약
- 도메인 주도 설계(DDD)는 도메인 모델과 코드의 연계를 통해 복잡성을 해결하는 아키텍처 패턴
- 유비쿼터스 언어(Ubiquitous Language)를 통해 도메인 전문가와 개발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혁신
- 전략적 패턴(Bounded Context, Context Map, Distillation)을 통해 시스템 복잡도 관리 및 팀 협업 최적화
섹션별 세부 요약
1. 모델 주도 설계
- 도메인 모델 = 코드라는 원칙을 기반으로 설계와 구현을 반복적으로 개선
- Entity, Value Object, Module, Service 등 빌딩 블록을 통해 모델 구현
- Aggregate, Repository, Factory로 생명주기 관리 및 불변식(Invariant) 보장
2. 유비쿼터스 언어
- 도메인 전문가와 개발자 공유 용어를 코드에 반영하여 의미 혼란 최소화
- Bounded Context를 통해 서브도메인별 언어 정의 및 컨텍스트 분리
3. 지식탐구와 전략적 패턴
- 도메인 전문가와의 깊은 협업을 통해 요구사항을 반영한 모델 생성
- Bounded Context와 Context Map으로 시스템 구성 요소 간 관계 정의
- Distillation 전략을 통해 핵심 서브도메인 집중 및 리소스 최적 배분
4. DDD와 애자일, 객체지향의 관계
- 애자일의 반복적 개선과 DDD의 리팩터링이 서로 상호 보완적
- CQRS, 이벤트 소싱, MSA(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) 등 현대 아키텍처 패턴과 연계 가능
5. 도메인 계층 분리와 테스트
- 도메인 계층은 외부 의존성 없이 순수한 비즈니스 로직을 유지해야 함
- Hexagonal Architecture를 통해 테스트 자동화 및 인프라 독립성 달성
결론
- Bounded Context로 시스템을 분할하고 Context Map으로 관계 정의하여 복잡도 관리
- 유비쿼터스 언어와 Distillation 전략을 통해 도메인 전문가와 개발자 간 협업 강화
- Aggregate와 Repository를 활용한 불변식 보장이 핵심 설계 원칙
> "도메인 주도 설계는 복잡한 시스템을 해결하기 위한 체계적인 사고방식이며, 전략적 패턴과 아키텍처 기법을 통해 실무에서 적용 가능하다."